브뤼셀 모네 극장의 케루비니 오페라 ‘메데’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13년 7월 1일 12:00 오전


▲ ⓒLisa Marie Mazzucco

“선생님이 생각하시는 가장 위대한 작곡가는 누구입니까?”라는 질문에 베토벤은 “작고한 작곡가 중에서는 헨델, 살아있는 작곡가 중에서는 케루비니일세”라고 대답했다 한다. 베토벤보다 10년 연상인 루이지 케루비니(1760~1842)는 이탈리아 출신이지만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주된 분야는 오페라와 종교음악이었다. 베토벤이 케루비니를 꼽은 이유는 그의 뛰어난 오페라 때문이었을 것이다. 케루비니는 장중한 프랑스 궁정 오페라의 전통 위에 이탈리아 오페라의 장점을 덧입혔지만, 1797년에 완성한 ‘메데’의 경우는 새로운 양식인 오페라 코미크로 작곡되었다. 프랑스어에서 ‘코미디’란 희극이기에 앞서 연극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므로 오페라 코미크도 희극 오페라보다는 연극적인 오페라, 즉 레치타티보 대신 연극적인 프랑스어 대사를 붙인 장르를 말한다. 그렇지만 에우리피데스의 그리스 비극에서 취재한 장중한 줄거리를 서민적인 오페라 코미크로 다룬 바람에 ‘메데’는 베토벤의 평가와 달리 프랑스에서는 별로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래서 1802년에 ‘메데아’로 제목이 바뀐 이탈리아 번역판이 나온다. 7년 후에는 이를 케루비니 자신이 줄인 축약판이 등장했다. 1855년에는 독일의 프란츠 라흐너가 그 축약본에 레치타티보를 작곡해넣은 독일어판을 만들었는데, 오늘날 가장 널리 연주되는 것은 이 레치타티보를 사용하면서 가사는 다시 이탈리아어로 바꾼 것이다. 가장 뛰어난 메데아로 손꼽히는 마리아 칼라스가 1953년에 불렀던 판본이다. 이탈리아어 축약 판본에 의한 영상은 두 종류가 존재했지만 1797년의 프랑스어 판본에 의거한 ‘메데’의 영상물은 2011년 9월 브뤼셀의 모네 가극장 실황인 이것이 최초다. 그런데 폴란드의 세계적 연극 연출가 크리스토프 바를리코프스키가 현대 프랑스어의 문법과 감각으로 대사를 재구성했으니 초연판과도 달라졌다. 물론 음악은 프랑스 바로크의 권위자인 크리스토프 루세가 맡아 18세기 말의 스타일로 연주한다. 그러나 음악보다 중요한 것은 바를리코프스키의 연출에 있다. 그는 작품의 배경을 1960년대 초의 유럽으로 설정하여 당시 유행한 팝음악들이 종종 들려오도록 하면서, 배신한 남편에 대한 복수로 두 아들을 살해한 것으로 유명한 여자 마법사 메데에게는 2011년에 요절한 팝가수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퇴폐적인 의상과 헤어스타일, 문신을 입혀놓았다. 단번에 관객을 사로잡을 만한 아이디어다. 그러나 그 다음이 문제다. 와인하우스를 1960년대 문화나 자식 살해 이미지와 연결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타이틀롤을 맡은 나디아 미하엘의 역량에 너무 많은 것을 의존하고 말았다. 미하엘은 ‘살로메’는 물론 또 다른 메데아 오페라인 시모네 마이어의 ‘코린토스의 메데아’에서 정신분열적인 주인공을 탁월하게 소화한 바 있고, 여기서도 그 연극적 몰입도는 다른 가수들을 압도한다. 그러나 그녀의 고질적인 문제인 다소 부정확한 음정과 풍요롭지 못한 표현력이 발목을 잡는다. 다른 가수들도 이 오페라가 생경해서 그런지 전체적으로 뛰어난 연기에도 불구하고 노래는 부자연스러운 편이다. 그나마 듣는 보람이 있다면 크리스토프 루세가 지휘하는 레 탈랑 리리크의 연주 덕분이다. 비교적 빠른 템포를 취하면서 감정이 드러나는 장면에서는 충분한 여유를 부여하는데, 그 여유를 잘 활용하지 못한 가수들의 부족한 역량이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글 유형종(음악 칼럼니스트)


▲ 미하엘(메데)/슈트라이트(자송)/스토테인(네리스)/르 텍시에(크레옹)/루세(지휘)/레 탈랑 리리크/바를리코프스키(연출)
Bel Air BAC 076 (PCM Stereo, 5.1 DD, NTSC, 16:9, 138분, 2DVD)
★★★☆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