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먼 레브레히트 칼럼 | SINCE 2012
영국의 평론가가 보내온 세계 음악계 동향
알프레드 브렌델(1931~2025)을 회고하며
결코 잊을 수 없는 ‘거장’ 혹은 ‘괴짜’의 이야기
알프레드 브렌델은 체코 브르노 출신의 오스트리아 피아니스트로, 지성적 해석과 철학적 사유로 20세기 후반 피아노 음악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라츠 음악원에서 수학했지만, 거의 독학으로 예술적 기반을 다졌다. 1948년 17살에 자그레브에서 프로코피예프 협주곡으로 데뷔했으며, 같은 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에도 참가했다. 복스 레이블과의 계약으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전곡을 녹음했으며, 이후 필립스에서 두 차례 전곡을 다시 녹음하며 베토벤·슈베르트·리스트 해석의 권위자로 자리매김했다. 2008년 연주 은퇴 후에도 문필가와 강연자로 활동하며 ‘피아노를 듣는 시간’ ‘뮤직, 센스와 난센스’ 등을 발간했다.
그는 일반적인 사람처럼 보이려고 꽤나 애를 썼다. 키가 무던히도 컸던 알프레드 브렌델은 보통 사람들의 눈높이에 맞추려 구부정한 자세를 유지했다. 정장이 그의 체격에 쉽게 맞았던 적도 없었으며, 그의 넥타이는 무늬 없는 어두운색이었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장신구라고는 검은 테 안경뿐이었는데, 영화 ‘국제 첩보국’에서 배우 마이클 케인이 썼을 법한 종류였다. 비교할 의도는 아니었지만, 케인이라면 멋지고 관능적이며 과묵했을 상황에 브렌델은 어기적거리며 등장해 두서없는 말솜씨를 선보였다.
괴짜에서 거장으로
출판인 조지 와이든펠드(1919~2016)는 그에게 자서전을 써보라고 권했지만, 브렌델은 “제겐 흥미로울 구석이 없습니다”라고 답하며 거절하였다. 그가 살던 영국 햄스테드 지역의 정신 분석가 이웃들에게는 흥미로움 그 이상의 답변이었다. 그들은 브렌델이 매사를 부정하며 살았다고 말했다. 우리 시대의 가장 많은 업적을 남긴 피아니스트는 봉랍이 일곱 개나 찍힌 책과 같았다. 물론 아무것도 뜯기지는 않은 채로 말이다.
유년 시절, 브렌델은 체코·크로아티아·오스트리아의 여러 지방을 표류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구 히틀러 광장을 가로질러 피아노 선생님께 다녀오곤 했으며, 따로 음악 학교에 다닌 적은 없었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브렌델은 다소 특이한 악센트를 가진 외부인이었다. 한 때 그가 고백하길, “저는 어디에도 뿌리내리지 않았어요. 그 어느 땅도 필요치 않다는 점에서 굉장히 행복합니다”.
1951년, 숫기 없는 제작자 조지 멘델스존-바르톨디(1912~1988)는 리스트의 ‘크리스마스 트리 모음곡’ 녹음을 브렌델과 작업했다. 이 음반 덕분에 미국의 허름한 음반사 ‘복스’의 계열사 ‘턴어바웃’에서는 화려한 슬라브 음악인 무소륵스키 ‘전람회의 그림’, 발라키레프 ‘이슬라메이’를 세상에 내놓았다.
마침내 그는 빈 필하모닉과 함께 모차르트 협주곡을 녹음하기에 이르는데, 이때 빈필은 기존 계약을 피하기 위해 ‘프로 무지카’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오스트리아의 막강한 지휘자 카라얀(1908~1989)은 브렌델을 무시하듯 크레네크 피아노 협주곡으로 단 한 번 협업했으며, 브렌델의 잘츠부르크행도 거부했다.
그는 복스에서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32곡과 잘 알려지지 않은 일부 변주곡 녹음에 꾸준히 집중했는데, ‘신이여 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브리타니아여 지배하라’ 작업은 도중에 조롱하듯 중단했다. 이유야 알 수 없지만 브렌델은 극도로 진지한 모습과 전혀 진지하지 않은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곤 했다.
1970년 영국 런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의 베토벤 독주회는 모든 것을 바꿔 놓았다. 공연 다음 날 아침, 대형 음반사 세 곳에서 그의 호텔방 문을 두들겼다(나는 이를 실제로 목격했는데, 썩 유쾌한 장면은 아니었다). 그 중 음반사 ‘필립스’가 빈의 거장 하이든·모차르트·베토벤, 그리고 다른 이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슈베르트의 피아노 작품을 녹음하겠다는 계획으로 계약에서 승리를 따냈다.
‘필립스’는 브렌델을 자존심보다 정확도를 우선하는, 믿을만한 피아니스트로 내놓겠다는 전략을 내놓았다. 실제로 그의 음반에서는 모든 음이 적확하고, 강약 조절은 악보와 일치한다. 감상 목적이 아닌 공부를 위해 공연장을 찾은 관객들이 그의 공연을 매진시켰다.
그러나 여전한 괴짜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음반 PHILIPS
브렌델은 자신의 성공에 대해 “꽤나 기괴하다”고 칭했는데, 이를 두고 미국인들은 성공을 마다할 이유가 뭐냐며 당황스러움을 표출했다. ‘뉴욕 타임스’는 그들끼리 ‘지루하다’는 의미를 새로 붙여 사용했다. 피아니스트에 꽤나 열성적이던 해럴드 숀버그(1915~2003)는 그에 대해 “성실하고 충실하지만, 그다지 창의적이지는 못하다”고 묘사했다. 브렌델의 답은 이러했다. “저는 작곡가, 그리고 특히 작품에 대한 책임을 질 뿐입니다”.
무대 밖에서 그는 재치있는 유머로 친밀한 사교성을 쌓았다. 한번은 메뉴힌(1916~1999)과 함께한 저녁 식사 자리에서 브렌델은 내가 ‘텔레그래프’에 썼던 우스운 기사를 들며 나를 책망했다. 피아니스트를 ‘똑똑이’ 아니면 ‘미치광이’로 분류한 기사였다. 씩씩대며 그는 이렇게 말했다. “저를 ‘똑똑이’로 분류했던데, 전 누가 봐도 ‘미치광이’입니다”. 이것도 일종의 부정이었을까?
개인적인 이미지는 중요했다. ‘필립스’는 브렌델로부터 이전에 발매된 모든 음반 커버와 한 치의 오차 없이 똑같아 보이는 최신 커버 사진에 대해 승낙받기 위해 몇 주든, 몇 달이든 기다리곤 했다. 그의 음반 커버는 갈색 중의 갈색, 진흙 색이었다. 브렌델의 음반을 구매한 사람은 음반이 눈에 띄어서가 아니라 진심으로 원해서 산 것이다.
매사에 세심했던 그는 공연 당일 아침마다 똑같은 소리가 나는 스타인웨이 피아노 네 대를 테스트하곤 했는데, 나중에 자신이 피아노를 잘못 선택했다고 시인하기 위해서였다. 브렌델은 난데없는 불안감을 곳곳에 드러내기도 했다. 예전에 내가 브람스 협주곡의 ‘어려운’ 부분을 거론한 적이 있는데, 그런 단어 쓰지 말라며 그가 불같이 화를 냈다. “한번 어렵다고 생각하면 다시는 그 작품을 연주할 수 없어요”.
피아노 의자를 벗어난 브렌델은 미술관, 극장, 영화관 등 자신의 문화적 욕구에 따라 이곳저곳을 방문하며 높은 수준의 교양을 쌓기를 열망했다. 그는 본인의 스튜디오를 아프리카 예술품으로 가득 채우고 괴테에 대한 영어 강연을 하는가 하면, 마찬가지로 미치광이에 해당하는 ‘매혹적인’ 다다이스트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또한 추방당한 러시아 시인 브로드스키(1940~1996)를 자택에 초대해 햄스테드 지역의 이웃이자 영국 첩보원 출신의 작가 존 르 카레(1931~2020)를 소개했다. 브렌델은 건강을 위해 햄스테드의 히스 지역을 산책하고, 끈적거리는 케이크를 사서 귀가했다. 죽는 날까지 오스트리아인으로 남기는 했지만, 코트 자락을 펄럭이며 동네를 오가던 브렌델은 키이츠·콜리지·오웰과 같은 햄스테드의 명사였다.
그가 오른 산길을 걸어 내려오며
60대에 이른 은퇴를 한 뒤, 그는 분명한 위안을 얻었다. 2008년 크리스마스 전 주, 브렌델은 자신이 백 번도 넘게 연주했던 빈 무지크페어라인의 관객 앞에서 마지막으로 피아노 뚜껑을 덮었다. 시와 에세이를 더 많이 쓰고 싶어 했지만, 그에게는 지혜 한 조각이라도 간청하는 젊은 음악가들과, 그가 올랐던 음악이라는 산에 대한 이야기를 갈구하는 관객이 끊이지 않았다.
그 산에는 옆으로 새는 길도 있지만, 바흐에서 베르크까지 폭넓게 길이 나있었다. 브렌델은 차이콥스키·라흐마니노프를 경멸했고, 드뷔시·라벨을 업신여겼으며, 딱 한 번 쇼팽에 매료됐었다. 그 산의 정상에 있는 건 네 차례나 녹음한 맹렬한 쇤베르크 피아노 협주곡, 그리고 머리가 지끈거리는 부소니의 ‘대위법적 환상곡’뿐이다.
슈만의 피아노 협주곡과 ‘어린이 정경’에 이르는 소품만큼은 특별한 공감을 내비쳤는데, 이는 브렌델이 개인적으로 회고하기를 거부했던 어린 시절에 대한 풍경이었다. 브렌델이 그토록 조심스럽게 피해왔던 벼랑 끝으로 슈만은 위태롭게 걸어 나갔다.
번역 evener
노먼 레브레히트 칼럼의 영어 원문을 함께 제공합니다.
본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e worked so hard to appear normal. A tall man, Alfred Brendel cultivated a stoop to meet people at their level. His suits never sat easily on his frame. His tie was dark, no pattern. His one notable accessory was a pair of black-rimmed glasses of the kind worn by Michael Caine in The Ipcress File. No comparison intended. Where Caine was slick, sexy and laconic, Brendel shambled into a room and spoke in discursive phrases.
The publisher George Weidenfeld urged him to write an autobiography. Brendel declined. ‘I don’t find myself interesting,’ he said. That, for psychoanalysts who lived either side of his Hampstead street, made him more than just interesting. He must be in denial, they said. The most prolific pianist of our time was a book with seven seals, none of them broken.
His childhood shifted around Czech, Croat and Austrian provinces. He would cross Adolf Hitlerplatz to reach his piano teacher in Graz. He never went to music school. In Vienna he was an outsider, his accent not quite right. ‘I am not rooted,’ he once confessed. ‘I am very happy not to need any sort of soil.’
A shady producer, George de Mendelssohn-Bartholdy, recorded him in Franz Liszt’s Christmas Tree Suite in 1951. This led to Mussorgsky’s Pictures at an Exhibition and Balakirev’s Islamey, splashy Slavonic music on a scratchy American label, Vox-Turnabout. Eventually he got upgraded to record Mozart concertos with the Vienna Philharmonic, which used a phony name ‘Pro Musica’ to dodge existing contracts. Austria’s all-powerful conductor, Herbert von Karajan, worked with Brendel only once – dismissively, on a Krenek concerto – and refused to have him in Salzburg.
Brendel plugged away at Beethoven on Vox, the 32 sonatas and some fringe variations – God Save the King, Rule, Britannia! – which he knocked off tongue in cheek. Somehow he managed to appear both deadly serious and not serious at all.
A 1970 Beethoven recital at London’s Queen Elizabeth Hall changed everything. Next morning, three big labels came banging at his hotel door (I saw this happen in olden days, not a pretty sight). Philips won the auction with a plan to record the Viennese masters – Haydn, Mozart, Beethoven and especially Schubert, whose piano works languished behind the rest. They came up with a strategy that positioned Brendel as the pianist you could trust, the one who put accuracy above ego. In Brendel recordings every note was justified and every dynamic matched the score. He sold out halls to an audience that came to be educated, not entertained.
Brendel called his success ‘rather grotesque’. Americans were mystified: what’s not to like about success? The New York Times devised new synonyms for ‘boring’. The intensely pianistic Harold Schonberg found him ‘diligent, literal and not very imaginative’. Brendel said: ‘I am responsible to the composer and particularly to the piece.’
Away from the stage he cultivated a quirky wit and a genial sociability. One night over dinner with the Menuhins he castigated me for a frivolous article I had written in the Telegraph, categorising pianists as either eggheads or fruitcakes, intellectuals or nutcases. ‘You put me down as an egghead,’ fumed Alfred, ‘when I am obviously a fruitcake.’ Just another evasion?
Personal image mattered. Philips would wait weeks or months for Brendel to give approval to the latest sheet of cover portraits, which looked exactly the same as all the shots they had published before. His record sleeves were brown on brown, the colour of mud. You bought a Brendel record because you really wanted it, not because it leaped out at you.
Meticulous in all things, he would test four identical-sounding Steinways all morning before a concert, only to admit afterwards that he had picked the wrong one. Here and there, he might drop a sudden admission of anxiety. I once pointed to a ‘difficult’ passage in a Brahms concerto. ‘Don’t ever use that word,’ he scolded. ‘Once I start thinking it is difficult, I can never play the work again.’
Away from the piano stool, he would go to art galleries, theatre, cinema, omnivorous in his cultural appetites and keen to learn about civilisation. He lined his studio with African art. He gave lectures in English on Goethe and wrote a learned essay on the ‘charming’ Dadaists, fruitcakes that they were. He introduced the exiled Russian poet Joseph Brodsky, his house guest, to the English spy writer John Le Carre, a Hampstead neighbour. He walked on the Heath for his health and bought a sticky cake on his way home. Coat tails flapping, Brendel was as familiar a Hampstead character as Keats, Coleridge and George Orwell, yet he remained Austrian to the day he died.
He retired early, in his sixties and with apparent relief. He closed the piano lid for the last time in public a week before Christmas 2008, in Vienna’s Musikvereinssaal where he had played more than a hundred times. He wanted to write more poems and essays but there were always young musicians begging for a shred of wisdom and there were audience eager to hear him talk about the mountain of music he had scaled.
It extended from Bach to Alban Berg, a line with few digressions. He despised Tchaikovsky and Rachmaninov, disdained Debussy and Ravel and was only once enticed by Chopin. His summits were the ferocious Arnold Schoenberg concerto, which he recorded four times, and Ferrucio Busoni’s brain-straining Fantasia Contrappuntistica.
A particular empathy was saved for Schumann – the piano concerto and smaller pieces down to Kinderszenen, the scenes from a childhood that he personally refused to revisit. Robert Schumann walked perilously close to the edge that Alfred Brendel so cautiously avoided.
글 노먼 레브레히트 영국의 음악·문화 평론가이자 소설가. ‘텔레그래프’지, ‘스탠더즈’지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해왔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자신의 블로그(www.slippedisc.com)를 통해 음악계 뉴스를 발 빠르게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