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먼 레브레히트 | SINCE 2012
영국의 평론가가 보내온 세계 음악계 동향
소프라노 안나 네트렙코를 둘러싼 논란
전쟁 옹호와 해고 사이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안나 네트렙코(1971~)의 코번트 가든 복귀는 언제나 논란의 소지가 있었다. 이 53세의 러시아 출신 소프라노는 2014년 크림반도의 친러시아계 분리주의자들에게 기부한 모습이 포착된 적 있다. 2012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재선을 지지하는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 2022년 2월까지 그녀는 푸틴 정부나 자신의 스승이자 권위 있는 지휘자 발레리 게르기예프(1953~)가 시키는 대로 움직이는 크렘린궁의 꼭두각시였다. 그들이 부르면 네트렙코는 가서 노래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 논란의 시작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 폭격을 가하고, 푸틴 대통령이 몇 주 내에 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큰 소리를 치기 시작하며 모든 것이 바뀌었다. 당시 오스트리아 국적을 취득해 빈에서 체류 중이던 네트렙코는 본인의 공연이 취소되는 것을 보며 세간의 이목을 피해 지냈다. 5주 뒤에 전쟁을 반대한다는 성명과 함께 다시금 모습을 드러냈으나, 푸틴의 책임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그녀의 발언은 다음과 같다. “저는 명백히 우크라이나 전쟁을 규탄하며, 이 전쟁으로 인한 희생자 및 그 가족들과 뜻을 같이합니다.”
몹시 늦고 소극적인 대처였다. 네트렙코의 음반 레이블 및 에이전시는 그녀와 갈라섰고, 미국 뉴욕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는 수년간의 계약을 파기했다.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의 일부 공연을 제외하고는 보이콧 행렬이 이어졌고, 정치적 난제가 되어버린 네트렙코의 모든 행보는 산발적인 시위와 그릇된 관심을 유발할 뿐이었다.
‘스타’를 재기용한 로열 오페라의 선택
이런 와중에도 코번트 가든은 왜 그녀에게 올 9월 ‘토스카’와 연말 ‘투란도트’, 그리고 내년 6월 ‘특별’ 리사이틀의 메인 무대에 세우는 귀한 특권을 안기는가? 내부적인 사고가 점점 더 늘어나기만 하는 오페라하우스 판에서 발생한 초대형 인재(人災)처럼 보인다.
지난 7월, 로열 오페라의 오페라 감독 올리버 미어스(1979~)는 한 단역의 성악가가 커튼콜 도중 저항의 의미로 팔레스타인 국기를 흔드는 것을 막으려다 우습게 실패한 전적이 있다. 이어 로열 오페라 최고경영자 알렉산더 비어드 경이 이스라엘 오페라와의 공동 제작을 취소했고, 뒤늦게 팔레스타인 연대 운동가들의 압박 때문이 아니라 단순히 직원 안전 문제로 인한 것이라 덧붙였다. 8월에는 여러 영국 하원 의원과 우크라이나 지지 연대가 ‘가디언’에 성명을 발표하고 “지위와 책임, 이익과 가치, 침묵과 양심 사이에서 본질적인 선택”을 바란다며 로열 발레·오페라에서 네트렙코의 해고를 촉구했다. 어려운 요구였다.
이를 예견한 미어스는 시즌 발표에서 네트렙코의 복귀가 자신이나 비어드의 결정이 아닌, 음악감독으로 취임 예정인 야쿠프 흐루샤(1981~)의 특별 요청이라고 명시했다. 경영진 누구도 책임이 없으며, 오직 예술을 위한 예술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네트렙코가 포함된 새 ‘토스카’ 제작을 총괄하는 이는 미어스 본인이다. 고문·데이트 폭력·살인·자살을 다루는 이 오페라는 이름난 배우가 주역을 맡는 것이 적합하며, 안나 네트렙코만큼 이름난 배우는 또 없다. 중년의 세월에 목소리가 닳고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관객 파워가 산산조각 났음에도 그렇다. 영국 오페라 애호가들은 마지막으로 한 번 더 네트렙코의 목소리를 들을 권리가 반드시 있다는 게 그녀의 복귀 내막 중 하나다.
우려했던 시위는 없었지만…
혹시 우리 모두 오해한 걸까? 신경이 예민한 아이를 키우는 싱글맘이자, 생계를 부양하면서도 본인의 신념을 유지하기 위해 재능까지 검증받아야 하는 중요한 예술가를 부당하게 괴롭히고 있는 것일까? 모든 결점에도 불구하고, 소름 끼치도록 완벽하게 이탈리아 오페라를 해석해온 안나 네트렙코에 대한 일종의 연민을 느낄 수밖에 없다. 라 스칼라 극장의 ‘안드레아 셰니에’ 공연에서 마지막으로 그녀를 보았을 때, 네트렙코는 공연장 전체를 손아귀에 단단히 쥔 대자연의 힘 그 자체였다. 그녀가 무대 왼쪽으로 사라지자, 긴장감 또한 함께 사라졌다. 이러한 마력은 칼라스·서덜랜드·소냐 욘체바·아스믹 그리고리안과 같이 귀하게 여겨야 할 계열에서 포착된다. 어쩌면 네트렙코 또한 그녀의 행보가 아니라, 역량을 바탕으로 포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그녀가 전성기 동안 보인 선행이랄 것은 거의 없었기에, 그녀의 이전 해고에 항의하는 동료는 아무도 없었다. 네트렙코는 현재 명예훼손 및 출신 국가에 대한 차별 명목으로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를 고소 중이나, 오페라 세계에서 평판을 회복하기에 좋은 방법은 아니다.
결국 ‘토스카’가 개막한 밤은 저택 침실에서 다 타버린 양초처럼 불티 날리듯 타올랐다. 수십 명의 친우크라이나 시위대는 로열 오페라 하우스 입구를 막지는 않은 채 정원 울타리 너머의 이웃처럼 정중하게 오페라 애호가들과 대화하며, 무례해 보이지 않으려 주의를 기울였다. 어찌 되었든 여긴 영국이니 말이다.
개막날 공연장 내부 시위도 없었고, 야유도 거의 터지지 않았다. 네트렙코는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었기에 가장 큰 박수갈채는 지휘자 야쿠프 흐루샤에게 돌아갔다. 평판이 훼손되지 않은 채로 이 불필요한 논란에서 벗어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이번 일로 배운 점이라면, 오페라계가 21세기 중반의 점점 더 정교해지는 심리전에 대항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사실뿐이다. 번역 evener
글 노먼 레브레히트
영국의 음악·문화 평론가이자 소설가. ‘텔레그래프’지, ‘스탠더즈’지 등 여러 매체에 기고해왔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자신의 블로그(www.slippedisc.com)를 통해 음악계 뉴스를 발 빠르게 전한다
노먼 레브레히트 칼럼의 영어 원문을 함께 제공합니다.
본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Anna Netrebko’s return to Covent Garden was always going to be contentious. The Russian soprano, 53, was pictured in 2014 bringing gifts to Russian-armed separatists in Crimea. Two years earlier, she put her name to a list endorsing Vladimir Putin for president. Until February 2022, she was a Kremlin puppet who did as she was told, either by Putin’s office or by her mentor, the powerful conductor Valery Gergiev. They summoned, she sang.
Everything changed when Russian planes bombed Kyiv and Putin bragged of winning the war within weeks. Netrebko, who lives in Vienna on an Austrian passport, kept her head down until, seeing her dates being cancelled, she emerged after five weeks with a statement that disowned the war, but not Putin’s responsibility for it. In her words: ‘I expressly condemn the war against Ukraine and my thoughts are with the victims of this war and their families.’
It was too little, much too late. Her record label and management agency disowned her. New York’s Metropolitan Opera tore up several years’ worth of contracts. A few stages – chiefly in Austria and Italy – broke the general boycott, but Netrebko was now a political hot potato whose every appearance generated scattered demonstrations and the wrong kind of attention.
So why has Covent Garden now brought her back to sing Tosca next month, followed by Turandot later in the season and the rare privilege of an ‘intimate’ main-stage recital next June? It looks like massive human error all over again at an introspective and increasingly accident-prone opera house.
Last month, the Royal Opera director Oliver Mears tried and comically failed to take down a Palestine flag waved by a rebellious extra during curtain calls. The CEO Sir Alex Beard followed up by cancelling a co-production with Israeli Opera, belatedly claiming this had nothing to do with pressure from pro-Palestine agitators, just a matter of staff safety. This week a battery of British MPs and pro-Ukraine culturati have published a letter in the Guardian, challenging the Royal Ballet and Opera to sack Netrebko – a ‘defining choice’, they say ‘between status and responsibility, between profit and values, between silence and conscience.’ Tough call.
Mears, with some prescience, specified at the season announcement that Netrebko’s return was not his decision, or Beard’s but the specific request of the incoming music director Jakub Hrusa. No executive was to blame. This was art for art’s sake, right?
But the new Tosca production for which Netrebko was engaged is directed by Mears himself. It is an opera of torture, attempted date-rape, murder and suicide which works best with a big name in the title role. There is no bigger name than Anna Netrebko, even if her voice is fraying in middle-age and her audience is fragmented by the Ukraine conflict. British operagoers surely have a right to hear her one last time is part of the thinking behind her engagement.
Or have we all got it wrong? Are we victimising an important artist for her country’s crimes, a single mother who is raising a neurodiverse child and needs the validation of her talent just to put bread on the table and maintain self-belief. It is hard not to feel some sympathy for Anna Netrebko who, for all her faults, has been an epic interpreter of Italian operas great and gruesome. When I last saw her at La Scala in Andrea Chenier, she was a force of nature that held the house in an iron grip.
When she exited stage left, the tension dropped with her. Such magnetism is in the class of Callas and Sutherland, of Sonya Yoncheva and Asmik Grigoryan, a species that demands to be protected. Perhaps Netrebko needs to be embraced for what she does best, rather than what she signed.
On the other hand, she did herself so few favours in her glory years that no colleagues protested her dismissal. She is presently suing the Met for defamation and discrimination on grounds of national origin, hardly the best way to rehabilitate herself in the opera profession.
In the event, the opening night sputtered and flared like a burnt-down candle in a castle bedroom. A few dozen pro-Ukraine demonstrators outside the Royal Opera House took care not to block the entrances, or be rude in any way engaging in polite conversation with stubborn operagoers as if across a garden hedge. This is England, after all.
There were no first-night protests inside the house and hardly any booing. Netrebko was not on top form and the biggest ovation was earned by the conductor, Jakub Hrusa. No-one comes out of this unnecessary distraction with reputations enhanced. All we have learned from it is that opera is not yet equipped to cope with the increasingly sophisticated psychological warfare of the mid-21st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