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석예술평론상

우수 컨텐츠 잡지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09년 8월 13일 12:00 오전

당선작(본지 3월호에 전재)

글 방혜진

진은숙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 미로의 안과 밖(자유 주제 평론)
엘렌 그리모 피아노 독주회(지정 공연평)

시상식은 3월 25일 오후 8시 설치극장 정미소에서 열립니다.

2010 객석예술평론상

응모 자격 – 대한민국 국적 소지자

응모 부문 – 음악 평론 (지정 공연평 1편과 자유 주제의 평론 1편)

1. 지정 공연평 1편 : 지정 공연 1·2 중 택일, 200자 원고지 20매 안팎

– 지정공연1. 서울시향 ‘진은숙의 아르스 노바 Ⅲ’(10월 22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 지정공연2. 엘렌 그리모 피아노 독주회(12월 13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해외 거주자의 경우 10~12월에 열린 현지 공연평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2. 자유 주제의 평론 : 200자 원고지 50매 안팎
– 인물·작품·공연·음반평을 비롯해 문화예술 관련 시론 등 소재에 제한이 없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월간 ‘객석’ 홈페이지(www.gaeksuk.com)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응모 기간 – 2010년 1월 25일까지(당선작 발표 2010년 3월호 월간 ‘객석’)

당선 혜택  – 당선작 상금 1,000만 원
– 월간 ‘객석’에 고정적으로 공연 및 작품 평론을 게재하며 평론가로서 데뷔
– 향후 평론가로서의 성장에 월간 ‘객석’의 전폭적인 지원

심사
– 1차 심사는 월간 ‘객석’ 편집부, 2차 심사 및 최종 심사는 각 부문 심사위원에 위촉

2010 객석예술평론상 심사위원
• 이순열(심사위원장, 음악평론가)
• 윤석화(월간 ‘객석’ 발행인)
• 강해근(한양대 음대학장)
• 윤중강(음악평론가, 제1회 객석예술평론상 수상자)
• 이장직(중앙일보 기자, 제2회 객석예술평론상 수상자)
• 용호성(국무총리실 문화체육과장, 제9회 객석예술평론상 수상자)
• 박용완(월간 ‘객석’ 편집장)

이상 7명

응모 세부 사항 
– 모든 응모작은 과거에 발표되지 않은 순수 창작물이어야 합니다.
– 동일한 원고를 타 매체 문예상에 중복 투고하면 심사에서 제외됩니다. 결과 발표 후 밝혀질 경우
  당선 무효 처리됩니다.
– 원고의 첫 장에 응모 부문·본명·연락처(자택전화 및 휴대전화)·원고량(200자 원고지 기준)을 기입하십시오.
– 자유주제 원고의 두 번째 장에 본문 요약본(A4 한 쪽, 200자 원고지 기준 7매 이내)을 작성하십시오.
– 응모작은 A4 용지로만 제출 가능합니다.
– 응모작은 우편 및 이메일로 접수 가능합니다. 마감 당일 우편 소인이 찍힌 응모작까지 유효하며,
  원고가 든 봉투에는 큰 글씨로 ‘객석예술평론상 응모작’임을 표기하십시오.
  (우편: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199-17 객석빌딩 4층, 이메일 spirate@gaeksuk.com)
– 모든 응모작은 반환하지 않습니다.

과거 객석예술평론상 
1985년 초대 객석예술평론상(1984년 접수, 1985년 3월호 발표)

초대 심사위원 
유신·서우석(양악) 이혜구·권오성(국악) 여석기·한상철(연극) 박용구·채희완(무용)

초대 수상자 
박선희(양악) 윤중강(국악) 이원균(연극) 이병옥(무용)
1985년 초대 객석예술평론상(1984년 접수, 1985년 3월호 발표)

역대 주요 수상자 
이장직(중앙일보 음악전문기자)
전정임(‘안익태’(시공사) 저자)
용호성(문화관광부 예술정책과장, 컬럼비아대학교 예술교육연구센터 초빙연구원)
진회숙(‘진회숙의 클래식 오딧세이’ 저자, 서울시향 ‘SPO’ 편집위원)
문옥배(음악평론가·대전신학대 교수)
김익두(전북대 교수)
김미도(연극평론가·서울산업대 교수)
장성희·이상우·신아영·백현미·박광수(연극평론가)
정희창(무용평론가)
허영일(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문애령(무용평론가)

역대 수상작 리스트

회차 연도 게재 호 입상부문 당선/가작 이름 제목
제1회 1985 3월 양악 당선작 박선희 ‘한국음악’개념의 구조적 분석
국악 당선작 윤중강 ‘숲’에서 ‘전설’까지-가야금 곡을 통해 본 황병기의 음악과 사상
연극 당선작 이원균 한국연극의 방향 ? 관객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무용 가작 이병옥 무용 중흥을 위한 오늘의 진단
제2회 1986 3월 양악 당선작 이장직 개화기 음악의 사회사(1883~1945)-서양음악의 수용을 중심으로
4월 무용 당선작 정희창 ‘뿌리’생명의 근본적 움직임-무용주제의 상징 상상학(想像學)적 이해
5월 연극 가작 신용님 한국적 비극을 위한 시론
국악 부문 해당작 없음
제3회 1987 3월 국악 당선작 이인원 서양악기의 한국적 수용, 그 방향과 과제
4월 연극 가작 이인 가작 현실의 우의적 드러냄-이강백 작품론 이인
5월 무용 가작 허영일 생명성의 회복, 그 행위화된 의식의 의미-‘결혼식과 장례식’의 주제를 통한 해석
양악 부문 해당작 없음
제4회 1988 3월 연극 당선작 김미도 현실의 지평에 선 역사극의 무대
4월 무용 당선작 허영일 시와 무용, 그 ‘새로운 만남’을 위하여
5월 양악 공동가작 김학민 한국대중가요의 음악구조 변천연구
6월 양악 공동가작 전정임 현대음악어법의 긍정적 수용
7월 국악 가작 진회숙 한국 음악극의 미래를 위하여
제5회 1989 3월 양악 당선작 이수형 한국가곡의 재인식 문제
4월 양악 가작 문옥배 ‘서양 음악연주의 한국적 해석을 위한 시론’
6월 연극 가작 김재석 ‘정치극의 대두와 전망’
국악 및 무용부문 해당작 없음
제6회 1990 3월 국악 당선작 노복순 바람직한 노래문화의 창조적 지평을 향한 시론
4월 무용 가작 송혜영 1980년대 한국 춤 창조작업의 흐름
양악 및 연극 부문 해당작 없음
제7회 1991 3월 연극 당선작 백현미 1990년도 연극계의 변모양상
4월 양악 당선작 조익현 한국현대작곡가에 나타난 음악 기보법의 특징적 변모
5월 무용 당선작 문애령 비평적 관점에서 본 무용예술과 대본의 상관관계
6월 연극 가작 이상우 의식과 무의식의 실존적 경계, 혹은 연극의 존재방식
1991년 ‘객석예술평론상’이 ‘예음상’으로 개칭됨
1992년 ‘예음상’ 3월 평론부문 해당작 없음
1993년 ‘예음상’ 4월 음악 당선작 용호성 세종문화회관 조직 및 기능의 바람직한 개편 방향
5월 연극 당선작 김익두 다시 민족극의 새로운 지평을 향하여-한국연극의 창조적 지평을 향한 민족 연극학적 시론
6월 연극 가작 장성희 창작극에 나타난 ‘도둑 모티브’와 희극적 본질-‘마술가게’, ‘늙은 도둑이야기’, ‘거룩한 직업’을 중심으로
7월 무용 가작 진옥섭 ‘회귀선’과 ‘마음 꽃’ 읽기 ? 그 분석적 고찰
1994년 ‘예음상’ 4월 연극

당선작 박광수

여성연극의 제자리 잡기-4편의 여성연극을 중심으로

5월 연극 가작 김명화 현실 속의 미래진단: 젊은 연극의 지표를 찾아서
6월 연극 가작 신아영 90년대 연극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그 가능성과 한계
1995년 ‘예음상’
(1996년 본지 게재)
4월 무용 당선작 성기숙 ‘전통, 일상, 현실, 세계화, 의식의 열림과 확장-임학선론’
5월 연극 가작 김유미 ‘우리화, 보편화, 현재화를 통한 좋은 연극 만들기'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