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 앤 크라이’

새로운 무대, 유일무이한 울림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14년 4월 1일 12:00 오전

3월 6~9일 LG아트센터

‘키스 앤 크라이’는 한 여인의 기억 속 사랑과 상실에 관한 이야기를 독특한 형식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동시에 어린 시절 ‘손’으로 장난감을 갖고 놀며 시간을 보냈을 어른들을 위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공연시작 전 무대 위에는 대형 스크린 좌우로 다양한 촬영 세트와 소품들, 여러 대의 카메라가 자리 잡았고 연출가 자코 판 도마엘을 비롯한 무용수들, 촬영 스태프들은 그 사이를 자유로이 오가며 준비하고 있었다. 그간 많은 공연에서 정돈된, 또는 의도적으로 정돈되지 않은 연출을 봤던 것과는 사뭇 다른 느낌이었다. 준비 과정의 어느 한 토막을 그대로 잘라내 가감 없이 무대 위에 올려놓은 (누군가에게는 어수선해보일 수도 있는) 무대는, 추억 속 장난감을 모아둔 거대한 다락방같이 편안하면서도 호기심을 자아냈다.
공연 시작 3분 전, 열한 명의 스태프들은 무대 한 편에 어깨동무를 한 채로 둥그렇게 둘러서기 시작했다. 마치 월드컵 경기 출전을 앞둔 축구선수들처럼 이런저런 대화들이 진지한 눈빛 사이로 오고 갔다. 이러한 풍경은 ‘키스 앤 크라이’가 어느 한 개인의 발상과 재능에서 비롯된 창조물이 아님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무대가 암전되자 스태프들은 각기 다른 악기로 만들어낸 새소리로 숲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정경을 만들어내고, 체칠리아 바르톨리의 리날도 ‘울게 하소서(Lascia Ch’io Pianga)’가 객석으로 울려 퍼지면서 본격적인 공연의 시작을 알렸다. 레일을 따라 움직이는 카메라는 스태프들이 분주하게 창조해내는 미니어처 세트, 두 명의 무용수가 움직이는 손을 익스트림 클로즈업으로 포착하고 그 모습은 바로 스크린에 투사된다. 미리 녹음된 배우 유지태의 내레이션을 제외하면 이 모든 것은 실시간으로 연출되고 단 몇 분 만에 창조되며, 의도적인 앵글 아래 영상으로 보여졌다.
영화와 무용과 연극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이자 과정과 결과를 동시에 보여주는 공연이기에 관객 입장에선 매순간 ‘지금 무엇을 볼 것인가?’하는 특별한 고민(?)에 봉착할 수밖에 없었다. 공연 내내 각 요소를 두루 살펴보았는데 개인적으론 어느 쪽을 택하든 만족스러웠다. 무엇보다 사람보다 더 사람 같은 모습의 손이 표현하는 두려움과 환희, 고통은 오로지 카메라의 눈을 통해 보았기 때문에 느낄 수 있는 것들이었다. 여기에 지미 스캇이 부르는 ‘Nothing Compares To You’와 함께 스크린을 가득 채운 안무가 미셸 안 드 메이의 손은 움직임뿐 아니라 손 그 자체로 관능적인 감각을 일깨워주었다.
흘러가는 시간 속 선택의 문제, 시간 저편에 숨겨뒀던 기억의 파편을 수면 위로 올려 재배치하는 방식은 자코 판 도마엘이 영화를 통해 보여준 세계관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여기에 더해진 사랑과 기억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협업으로 탄생한 새로운 무대 표현 방식은 우리가 오랫동안 기억할 유일무이한 울림이 됐다.

김선영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