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16 | 바이올리니스트 김남윤’인간적인 포용력, 자유분방한 표현력’ | 
| 음악과 교양 | ||
| ■ | 12 | 
10월 이야기 사라져가는 상달의 엄숙한 달거지 – 윤재근  | 
| ■ | 52 | 
생활과 음악 / 시인 전봉건 ‘가을 날 사흘 이야기’  | 
| ■ | 56 | 
한국의 소리를 찾는다 10 물레소리 보름밤 달빛 거두어 실을 뽑는 숨소리 – 최승범  | 
| ■ | 62 | 
연주자가 말하는 나의 악기 바이올리니스트 이종숙과 토노니(TONONI)  | 
| ■ | 76 | 강창욱 음악만화 | 
| ■ | 97 | 
국산관악기 실태, 어디에 와 있나 재주는 있으나 살리지 못하고 있다 – 김진묵  | 
| ■ | 108 | 그림으로 보는 음악사 5 고전주의 음악 – 홍정수 | 
| ■ | 110 | 
지상명곡감상 / 엘가의 / ‘첼로 협주곡 E 단조 Op.85’ 낭만적 서정으로 이끄는 숭고한 분위기 – 김원구  | 
| ■ | 115 | 객석인물만평 / 서울시향악장 이택주 | 
| ■ | 124 | 지휘자로 본 명곡 · 명반 7선 / 네빌 마리너 – 김범수 | 
| ■ | 126 | 
차 한잔의 엽서 작가 박범신과 연출가 문석봉  | 
| ■ | 128 | 
옛 그림을 통해 본 우리음악 1 사실성과 현장성으로 파악되는 전통음악의 흐름 – 이태호 / 백대웅  | 
| ■ | 140 | 
연주스케치 / 한국페스티벌 앙상블 창단연주회 앙상블은 사랑이다 – 박은희  | 
| ■ | 142 | 
이달의 음악가 / 조르쥬 비제 집시의 정열을 풀어낸 영원한 보헤미안 – 김춘미  | 
| ■ | 146 | 
오페라 아리아 초대석 10 푸치니의 ‘라 보엠’ 군둘라 야노비츠가 부른 ‘미미’의 노래 – 최정호  | 
| ■ | 150 | 막간 / 피아니스트 남미숙 | 
| ■ | 152 | 
객석의 말 무대미술, 왜 낙후성을 탈피 못하는가 – 오경숙  | 
| ■ | 154 | 
예술의 흐름을 주도한 후원자들 부와 권력만으로 살 수 없었던 위대한 영혼들 – 임현경  | 
| ■ | 160 | 
10월의 민요 /  님 그리는 노래 방망이는 한쌍인데 삼경밤에 나 혼자네 – 신경림  | 
| ■ | 208 | 
현대문화예술 캘린더 5 합리성과 비합리성의 소용돌이 상업주의를 예고하는 1차대전 직후의 예술운동 – 김채현  | 
| 집중기획 | ||
| ■ | 102 | 
베를린 필의 푸르트벵글러와 카라얀을 비교한다 낭만적 전통성과 상업주의의 위대성 – 김범수  | 
| ■ | 132 | 
음악회 변천, 그 사회사 미래의 음악회는 어떤 모습을 띨까? – 이장직  | 
| ■ | 218 | 87년도 전국대학입시 실기 과제곡 총가이드 | 
| 해외취재 | ||
| ■ | 20 | 
’86 뮌헨오페라 페스티벌 부라보 ! 10편의 오페라 대향연 – 김상희  | 
| ■ | 25 | 
’86 바이로이트 음악제 바그너음악의 메카에서 35일간의 열광 – 김민  | 
| ■ | 30 | 
에딘버러 페스티벌과 엑스 – 김 – 마 트리오 빅토리아조의 영광을 되찾는 유럽 최대의 축제 – 장웅식  | 
| ■ | 58 | 
세계속의 한국예술인 4 바이올리니스트 이성주 뉴욕타임즈가 격찬한 음악적 감수성 – 김영기  | 
| 특집 | ||
| ■ | 77 | 
한국음악가 30인이 선정한 현존 명연주가 57인은 누구인가 1. 한국음악인은 어떤 연주가를 좋아하나 2. 부문별 베스트 10 지휘자 / 건반악기연주자 / 현악기연주자 / 관악기연주자 / 성악가 – 이성남  | 
| 무용 | ||
| ■ | 188 | 
조지 발란쉰과 그 연인들 2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무대위의 환상과 쾌감 – 이경수  | 
| ■ | 192 | 
김귀자 현대무용 발표회 메세지 전달이 분명했던 네개의 춤 – 이태수  | 
| ■ | 194 | 
인도 세라이켈라 차우 공연 춤과 악기가 빚어낸 독특한 리듬 – 강만홍  | 
| ■ | 196 | 
간다 아키코의 춤 다른 격식으로 춘 현대인의 초상 – 김영태  | 
| ■ | 198 | 
도쿄, 아메리칸 댄스 페스티벌 새로운 테크닉에 도전하는 화려한 무대 – 박일규  | 
| 연극 | ||
| ■ | 174 | 
’86 문화예술축전 연극제 / 전반부 총평 문화적 전통수립을 위한 시도들 – 김문환  | 
| ■ | 178 | 
연극하이라이트 / ‘트로이의 여인들’ 스즈키 타다시의 초신례(初神禮) – 여석기  | 
| ■ | 180 | 
반핵연극 / ‘피폭자’ 히로시마의 ‘콜 니드라이’ – 신유채  | 
| ■ | 182 | 
작가가 본 연극무대 / ‘태'(胎) 단절없는 ‘시해의식’과 ‘탄생의식’ – 강유일  | 
| ■ | 186 | 
커튼콜 / 연극배우 조상건 상징과 난해의 바다를 건너며 – 정연수  | 
| ■ | 203 | 
한국신극, 그 삐에로의 뒤안길 17 해방전후의 연극계 동향 – 유민영  | 
| ■ | 214 | 
한국연극상황 3 현장의 리얼리즘 1 체험으로 발견한 리얼리즘의 신비성 – 윤조병  | 
| 객석무대 | ||
| ■ | 36 | 
로열오페라단의 서울공연 잘 하는구나 하면서도 떨쳐 버리지 못한 아쉬움 – 문호근  | 
| ■ | 42 | 
고베 챔버오케스트라 내한연주 실내악의 묘미를 풀어내는 현의 요술쟁이들 – 김현숙  | 
| ■ | 44 | 
워싱턴 유나이티드 오페라단 창단공연 갈채받은 오페라 갈라콘서트와 결혼 – 박수길  | 
| ■ | 45 | 알렉산더 메닌 · 임명진 듀오 아벤트 | 
| ■ | 46 | 
악센펠트와의 만남 ‘바하 이전의 곡은 꼭 쳄발로로 연주합니다’ – 채문경  | 
| ■ | 48 | 칸타빌레 현악사중주단 초청연주회 | 
| ■ | 49 | 중앙여자중고등학교 오케스트라 제25회 정기연주회 | 
| ■ | 116 | 이달의 인물 · 무대 | 
| ■ | 122 | 
내일을 연다 작곡 / 조상욱 대금 / 이준호 연극배우 / 이미경 현대무용 / 김승근  | 
| 객석시평 | ||
| ■ | 67 | 음악 / 행사용도 이제는 ‘작픔’으로 만들어야 할 시점 – 이건용 | 
| ■ | 70 | 연극 / 잃어버린 페스티벌의 열기를 되찾는다 – 한상철 | 
| ■ | 73 | 무용 / 구경거리를 뛰어 넘어야 할 총체예술 속의 춤 – 김태원 | 
| 별책부록 | ||
| ■ | 문화예술종합정보 / 객석가이드 | |
| ■ | 
별지부록 가곡악보 / 나운영의 ‘가려나’  | 
|
| ■ | 96 | 
사고 예음 실내악경연대회 요강안내  | 
| ■ | 162 | 
사고 제3회 객석예술평론가상 공모안내  | 
| ■ | 167 | 
권중부록 판넬용 브로마이드 / 피아니스트 미켈란젤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