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16 | 서울연주 갖는 네빌 마리너와 슈투트가르트 교향악단또다시 몰려오는 ‘아마데우스’ 열풍금빛 소리를 만드는 독일 최고 수준의 오케스트라 – 장웅식 / 김상희 | 
| 음악과 교양 | ||
| ■ | 12 | 
12월 이야기 겨울 바다에 눈이라도 내리면 – 황금찬  | 
| ■ | 48 | 
생활과 음악 / 재불화가 백영수 낭만은 변했어도 예나 지금이나 명동은 ···  | 
| ■ | 52 | 
연주가가 말하는 ‘나의 악기’ 기타리스트 문풍인과 안토니오 마린 – 이성남  | 
| ■ | 54 | 
세계속의 한국예술인 / 재독 작곡가 박영희 사는 이야기를 담는다 – 김진묵  | 
| ■ | 56 | 대담 / 취임 1주년 맞은 이영희 공윤위원장 – 김두호 | 
| ■ | 58 | 한국의소리를 찾는다 / 떡방아 소리 – 최승범 | 
| ■ | 60 | 
신창악과 신민요의 만남 / 김동진 VS 변규백 우리나라의 독특한 흙냄새 나는 노래를 만들어야죠 – 채충석  | 
| ■ | 64 | 차 한잔의 엽서 / 영화감독 이두용 VS 배창호 | 
| ■ | 82 | 
대학오페라, 그 주역들 어떻게 배출되고,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 문호근  | 
| ■ | 86 | 
이달의 음악가 / 지아코모 푸치니 만인의 가슴을 울리는 드라마, 그 아리아 – 김춘미  | 
| ■ | 94 | 크리스마스 특선 / ‘고요한 밤 거룩한 밤’에 얽힌 이야기 – 박정하 | 
| ■ | 98 | ‘음악 펜클럽’ 10주년기념 대담 / 박용구 VS 김춘미 | 
| ■ | 102 | 객석의 말 / 중고교 브라스밴드, 활성화 되어야 한다 – 허재영 | 
| ■ | 108 | 그림으로 보는 음악사 / 베토벤은 어디에 있는가 – 홍정수 | 
| ■ | 110 | 
지상명곡감상 / 베토벤의 9번 교향곡 ‘합창’ 절망을 넘어 도달한 인류의 환희 – 김원구  | 
| ■ | 130 | 옛 그림을 통해 본 우리음악 3 – 이태호 / 백대웅 | 
| ■ | 134 | 강창욱 음악만화 | 
| ■ | 146 | 막간 / 플루티스트 송경화 – 김영태 | 
| ■ | 148 | 
현대문화예술 캘린더 7 이데올로기의 다툼 2 ‘인간을 구하자’는 세계예술인들의 자각 – 김채현  | 
| ■ | 158 | 12월의 민요 / 갯마을 노동요 – 신경림 | 
| ■ | 160 | 우리 음악과의 대화 – 송방송 | 
| ■ | 171 | 객석인물만평 / 작곡가 구두회 | 
| ■ | 180 | 판소리 한대목에 얽힌 이야기 / 심청가 3 – 유익서 | 
| 집중기획 | ||
| ■ | 104 | 
음악성을 진단하는 일, 그 방법과 의미 댁의 자녀는 음악성이 있습니까? – 이현자  | 
| ■ | 135 | 
예술대 졸업생, 어디로 갈 것인가 전공살려 일할 수 있는 미개척분야 찾아라 현장사례 / 이런 직종 이렇다 레코드 기획 무대미술 큐레이터 조명 예술행정 공연기획 직업예술단 단원 – 장광열 / 최갑주 / 오경숙 / 조은정/ 이상봉 / 문경종 / 구민영 / 손인영  | 
| ■ | 203 | 
공연예술에서의 표현의 한계 인간완성 과정에서 종교와 예술은 동반자 양질의 연극은 결코 외롭지 않다 요즘 대중가요에서 느끼는 것 – 함세웅 / 권오일 / 박재삼  | 
| 해외취재 | ||
| ■ | 36 | 
화제 뮤지컬, 셰익스피어 극단의 ‘레 미제라블’ 록 오페라처럼 엮은 사랑과 고뇌의 휴먼드라마 – 장웅식  | 
| ■ | 41 | 
제36회 베를린예술제 타데우스 칸토의 현대인을 위한 진혼곡 – 한옥희  | 
| ■ | 90 | 
87년도 지멘스 음악상, 번스타인 결정 인류문화에의 기여로 평가받는 음악 노벨상 – 김상희  | 
| ■ | 172 | 
예술산책 1 알함브라를 향하여 얼마나 조용한가, 알함브라의 탑들은 – 서우석  | 
| 특집 | ||
| ■ | 67 | 
87년도 국제저작권협약, 문답식으로 푼다 1. 국제저작권협약의 실체 2. 국제저작권협약가 입, 그 전망과 대응 3. 저작 인접권으로서의 실연가의 권리 4.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저작권 이해 – 윤희창 / 이중한 / 박원순 / 정연수  | 
| 연극 · 무용 | ||
| ■ | 154 | 
한국연극상황 5 현장의 리얼리즘 3 리얼리즘의 수정주의 노선 – 서연호  | 
| ■ | 182 | 
작가 박태순이 본 연극무대 / ‘누구세요?’ 신경질환성 풍자와 통속  | 
| ■ | 186 | 
연극 하이라이트 / ‘만리장성’ 익살극으로 보여주는 ‘역사의 되풀이’ – 김문환  | 
| ■ | 192 | 
신작무대 하이라이트 틀을 부순 몇개의 춤  | 
| ■ | 196 | 
무용아카데미 27회 공연 / ‘까치방’ 춤과 만난 다섯명 사형수의 삶 – 장광열  | 
| ■ | 198 | 
조지 발란쉰과 그 연인들 3 타마라 게바 ‘나는 그의 최초의 갈라테아였다’ – 이경수  | 
| 객석무대 | ||
| ■ | 22 | 
제3회 예음실내악경연대회 서울예고의 ‘아르스 트리오’ 최우수상 차지  | 
| ■ | 24 | 
잉글리드 헤블러 독주회를 보고 부족한 느낌이 없었던 헤블러 – 김귀현  | 
| ■ | 26 | 
살바토레 아카르도와의 협연을 마치고 실내악은 청중에게 즐거움을 주어야 하는 것 – 김민  | 
| ■ | 30 | 
제3회 시립오페라단 공연 / ‘나붓꼬’ 합창오페라의 묘미 살린 초연무대 – 김현숙  | 
| ■ | 115 | 이달의 인물 · 무대 | 
| ■ | 122 | 
내일을 연다 바이올린 / 윤경희 판소리 / 허종렬 연극배우 / 송영창 한국무용 / 김삼진  | 
| ■ | 124 | 
86년을 빛낸 12대 아티스트, 누구인가 음악 / 김남윤 · 이규도 · 이경숙 · 채일희 국악 / 박인기 · 백인영 연극 / 박정자 · 윤주상 · 최종원 무용 / 김영희 · 김선희 · 장애숙  | 
| 객석시평 | ||
| ■ | 142 | 영화 / 폭력 액션물 외면, ‘좋은영화’ 시대 예고 – 장길수 | 
| ■ | 208 | 음악 / 음악활동 다양했으나 비평활동 부재 – 최동선 | 
| ■ | 211 | 국악 / ‘전통’으로만 끝난 소리 높였던 전통 – 한명희 | 
| ■ | 214 | 연극 / 숙제로 남은 창작극 활성화 방안모색 – 한상철 | 
| ■ | 217 | 무용 / 양적으로 늘었으나 질적수준 답보상태 – 김영태 | 
| 권말부록 | ||
| ■ | 
권중부록 판넬용 브로마이드 / 지휘자 카를로스 클라이버 크리스마스 선물용 카세트 인덱스  | 
|
| ■ | 
별지부록 가곡악보 · 이수인의 ‘고향의 노래’  | 
|
| ■ | 
별책부록 문화예술종합정보 / 객석가이드  | 
|
| ■ | 81 | 
사고 제3회 ‘객석예술평론상’ 공모안내  | 
| ■ | 221 | 
’86 노벨문학상 수상자 단막희곡 전재 월레 소잉카의 ‘늪지대의 사람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