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40 | 해외평론가가 선정하는 21세기 세계음악의 주역들 3 카운터테너 요한 코발스키 1 현지평론가의 글 불세출의 리릭 테너를 꿈꾸던 지상의 오르페우스 2 동베를린 현지인터뷰 새로운 카운터테너 시대의 개막, 그 선구자 – 볼프강 산드너 / 오현숙 | 
| 음악 교양 | ||
| ■ | 24 | 7월 이야기 – 권국명 | 
| ■ | 60 | 박은희와 함께 듣는 라자 베르만 독주회 피아노, 쏟아붓는 그의 삶 – 우광혁 | 
| ■ | 76 | 국립 모스크바 실내합창단 공연 오케스트라처럼 다채로운 목소리의 향연 – 공윤조 | 
| ■ | 78 | 6월에 상연된 세편의 오페라 친숙한 레퍼토리, 신선했던 볼거리 – 배석호 | 
| ■ | 80 | 프로코피에프 피아노 소나타 전곡연주하는 이경숙 | 
| ■ | 81 | 조인형의 바하 오르간 작품 전곡연주회 | 
| ■ | 82 | 앙헬 로메로 기타 독주회 노래하는 기타, 마치 연가를 부르듯 | 
| ■ | 84 | ‘객석’에서 만납시다 줄리어드 출신의 여류 콰르텟 ‘코리아 앙상블’ | 
| ■ | 86 | 고궁에서 열린 전통음악 연주회 실연에는 성공했으나 전시행정의 표본같은 행사 | 
| ■ | 92 | 한국의 소리를 찾는다 / 뻐꾸기 소리 – 최승범 | 
| ■ | 94 | 생활과 음악 / 천문학자 현정준 별의 노래를 부르면서ㆍㆍㆍ | 
| ■ | 111 | 한국축제기행 / 양양 현산문화제 역사적, 지역적 특성을 살린 고유행사 풍성 – 이성선 | 
| ■ | 119 | 피아니스트 신수정의 지상레슨 ‘바르톡의 모차르트 소나타’ 재해석 | 
| ■ | 128 | 현악기 제작현황 2 감정에서 좋은 소리내기까지 | 
| ■ | 132 | 찬반론 / 최승한 VS 김성기 대학교수의 개인레슨, 양성화시켜야 하나? | 
| ■ | 154 | 재미로 읽는 음악잡학사전 | 
| ■ | 156 | 국악의 정서반응조사 / ‘국악은 과연 재미없는가’ 시간대에 따라, 기분에 따라 듣는 국악 – 황의종 | 
| ■ | 160 | 전통음악의 재발견 / 선소리 산타령 소고와 춤 곁들인 솔직발발한 민중의 노래 – 진회숙 | 
| ■ | 162 | 성악도를 위한 발성법 노트 실제 보고 듣는 것이 최고의 레슨 스승 – 강일모 | 
| ■ | 164 | 이와키 히로유키의 ‘악보의 풍경’ / 사보의 음 애정어린 음표에 깃든 또하나의 소리 | 
| ■ | 168 | 음악으로 병을 고친다(마지막회) 미국서 발달, 유럽 거쳐 아시아로 – 최병철 | 
| ■ | 234 | 원로 박용구의 삶에 비춰본 한국예술사 올림픽 문화축전, 그 기쁨과 서운함 – 이정화 | 
| ■ | 238 | 음악회, 음악감상 야화 3 천상의 기쁨을 가져댜준 피아티고르스키 – 정계환 | 
| 해외현지취재 | ||
| ■ | 66 | 체코의 ‘프라하의 봄’ 축제 역사적 사건과 몰다우강과 스메타나 | 
| ■ | 70 | 노르웨이 베르겐 페스티벌 ‘그리그’를 기념하는 스칸디나비아 최고의 음악제 – 이희숙 | 
| ■ | 102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민속 페스티벌 ‘가멜란’에 대한 자신감이 국제 축제로 발전 – 채충석 | 
| ■ | 250 | 체코의 연극 라테르나 마기카 ‘오딧세이’ 오늘의 인간 문명에 대한 강한 묵시록 | 
| ■ | 266 | 춤타래무용단 도쿄 공연 흙의 춤, 현대적 이미지 혹은 맵시의 창출 – 김영태 | 
| ■ | 272 | 일본 남성무용단 ‘산타이 주쿠’ 파리공연 “아래로 약간 처진 일본인의 관능성!” – 이인숙 | 
| 집중기획 | ||
| ■ | 50 | 바이올린의 명교수, 도로시 딜레이 VS 이반 갈라미언 1 도로시 딜레이의 바이올린 교수법 2 나의 스승 도로시 딜레이 3 이반 갈라미언은 어떻게 가르쳤나? – 김계숙 / 배은환 | 
| 특별기획 | ||
| ■ | 139 | 최근 잇따라 서거한 3인의 거장들, 제르킨ㆍ켐프ㆍ아라우 1 생애와 음악세계 2 3인의 명반 10선 – 안동림 / 선병철 | 
| 바로크에서 현대까지 작곡가 집중탐구 19 | ||
| ■ | 173 | 생상스, 까미유 1 생상스의 고향, 파리현지기행 2 탐미적인 생애와 음악세계 3 동시대의 어떤 음악가들과 교류했나 4 생상스 음악의 이해를 위한 명곡 9선 5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 6 지상명곡감상, 바이올린협주곡 제3번 7 생상스 음악의 명지휘자들 8 생상스의 명곡명반 – 이재연 / 최영옥 / 이장직 / 변지연 / 조경희 / 김원구 / 서동진 / 송영택 | 
| 연극 | ||
| ■ | 226 | 현대연극의 거장 / 앙트완트 비테즈 1 어떤 인물, 어떤 연극을 했나? 2 대표작 ‘엘렉트라’는 어떤 작품인가 – 신현숙 / 이병훈 | 
| ■ | 254 | 국립극단 ‘사로잡힌 영혼’과 연출가 김아라 자기성찰의 기회 던진 시원한 실험무대 – 주유미 | 
| 무용 | ||
| ■ | 220 | 직업무용단 춤 퍼레이드 춤의 예술성과 대중성, 그 가능성과 한계 – 장광열 | 
| ■ | 258 | 한라에서 백두까지 춤을 / 진주ㆍ삼천포ㆍ충무 | 
| ■ | 262 | 춤의 현장 / 국립발레단의 전막공연 ‘ 돈키호테’ 명확한 작품해석과 화려한 춤 테크닉 – 문애령 | 
| ■ | 270 | 한국의 명무 / 원필녀의 ‘비상’ | 
| ■ | 276 | 뉴욕ㆍ서울 동시취재 뉴욕시티 VS 키로프 발레단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 
| 객석 리뷰 | ||
| ■ | 242 | 부천필하모닉 정기연주회 모차르트 3,4중주 전곡연주회 클라리넷앙상블 정기연주회 극단 춘추의 ‘막차탄 동기동창’ 창작 뮤지컬 ‘무애가’ 반주은ㆍ임인선의 현대춤 툇마루무용단 ’91 창작춤판 – 이장직 / 홍승찬 / 김재선 / 신유채 / 김미도 / 허영일 / 송혜영 | 
| 오디오 레코드 | ||
| ■ | 284 | 명곡 라이브러리 / 비발디의 ‘사계’ 협주곡 형식 확립한 재능, 그 가치 – 김범수 | 
| ■ | 287 | ‘객석’이 있는 집 / 대전의 ‘마음의 고향’ | 
| ■ | 288 | 오디오 기획 / 아날로그 플레이어 1 아날로그 턴테이블의 미래 2 대표적 제품과 전망 – 이명열 / 정우광 | 
| ■ | 296 | 오디오 집중탐구 / CDP 디지털 신호 검출하여 출력하기까지 – 김기인 | 
| ■ | 300 | 알기 쉬운 오디오 용어해설 다이나믹 레인지란 무엇인가 – 윤종민 | 
| ■ | 302 | 국악 명반을 찾아 / 박록주의 ‘홍보가’ 단숨에 청중 후리는 간결체의 멋 – 배연형 | 
| ■ | 304 | 세계 명레이블 CD 순례 / 님버스 ‘자연의 소리’를 추구하는 녹음정책 – 소병철 | 
| ■ | 311 | 새음반 새테이프 | 
| 별책부록 | ||
| ■ | 공연예술종합정보 객석가이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