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했던 말러, 사반세기만의 귀환, 지휘자 임헌정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24년 3월 18일 8:00 오전

MEET

 

지휘자 임헌정

용감했던 말러, 사반세기만의 귀환

 

 

말러 교향곡 전곡 초연 25주년을 맞아 고향 충북에서 새롭게 선보이는 ‘말러 천상의 삶’

 

임헌정(1953~) 1989년부터 2014년까지 24년간 부천필의 상임지휘자를 지냈으며, 부천필과 국내 최초로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를 이끌며 ‘말러 신드롬’을 일으켰다. 서울대 음대 졸업 후, 미국 메네스 음대와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작곡과 지휘를 공부했으며, 서울대 작곡과 지휘 전공 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립심포니 예술감독, 포항시향 상임지휘자 역임 후 현재 충북도립교향악단 제5대 예술감독으로 악단을 이끌고 있다.

 

수구초심(首丘初心)일까. 2023년 3월, 임헌정은 충북도립교향악단으로 향했다. 충북 청주에서 태어난 임헌정은 초등학교 3학년 때 제천으로 이사해 3년을 살았다. 이후 강원도 원주로 가서 중학교 3년을 다닐 때까지 소년 시절을 충북에서 보냈다.

우리나라 음악계에 ‘말러 신드롬’을 일으킨 부천필과 말러 전곡 연주를 시작한 지 25년(1999년 11월 교향곡 1번으로 시작했고, 2000·2002년(2001년은 건강 문제로 중단)을 지나 2003년에 시리즈를 마무리했다). 사반세기를 맞아 임헌정이 충북도향과 말러 교향곡 4번을 무대에 올린다. 3월 21일(청주예술의전당), 28일(음성문화예술회관)에 이어 4월 4일에는 제천 배론성지에서 ‘말러 천상의 삶’이라는 주제로 공연을 앞두고 있다. 눈이 펑펑 쏟아지는 2월의 어느 날,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임헌정을 만났다.

 

고향에서 연주하는 ‘천상의 삶’

작년에 고향인 충북으로 귀환했다. 본인의 음악 세계에서 고향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나를 키운 건 8할이 시골 소년의 감성이다. ‘아 목동아(Danny Boy)’, ‘솔베이지의 노래’, 쇼팽 연습곡 Op.10-3 ‘이별의 곡’ 같은. 옛 노래는 슬프다. ‘오빠 생각’의 가사 중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와 같은 감성이 평생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충북도향 취임 연주회에서도 동요 모음곡을 연주했다. 요즘 시대는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비해 감성의 깊이가 아쉽게 느껴진다. 사랑, 환상 등 인간으로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은 보편적이지 않을까. 모차르트, 쇼팽, 스트라빈스키도 고향의 민요를 자신의 곡에 녹였다.

충북도립교향악단

충북도향 예술감독으로 보낸 지난 1년을 회고한다면? 이번 공연인 ‘말러 천상의 삶’은 어떻게 이루어지게 됐는지도 궁금하다.

상임 단원이 40명도 채 안 된다. 편성도 안 맞는데 충북의료원 등 주로 도민을 위한 찾아가는 음악회를 열었다. 그럼에도 단원들이 열심히 따라와 주었다. 올해는 말러 교향곡 전곡 초연 25주년, 브루크너 탄생 200주년의 의미가 있는 해이니, 말러와 브루크너의 작품을 해보자고 제안했다. 둘 다 교향곡 4번이다. 말러는 2관 편성이 없지만, 교향곡 4번에 트롬본이 나오지 않아 예산을 아낄 수 있었다. 기왕이면 성지에 가서 천상의 노래를 연주하고, CD로도 발매하려고 한다. 제천 배론성지에서의 연주는 김영환 충북도지사가 추천했다. 음향도 좋고, 2천여 명이 모일 수 있는 곳이더라. 첫 곡으로 연주하는 로시니의 현을 위한 소나타 3번은 모차르트 같은 순수함이 돋보이는 곡으로 ‘천상의 삶’과 잘 어울려 함께 선곡하게 됐다.

말러의 10개 교향곡 중 4번이 차지하는 위상과 특징은 무엇인가?

교향곡 4번은 말러의 작품 가운데 가장 특이한 감각을 지녔다. 동화적이고 어린아이 같은 마음으로 천당에 이르기도 한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 같은 선율이 나왔다가 장송행진곡이 나오기도 하는 특별한 작품이다. 말러 교향곡 1번은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2번은 ‘부활’, 3번은 6악장의 ‘사랑이 나에게 이야기하는 것’, 5번은 ‘말러의 사랑 이야기’, 6번은 ‘비극적’, 7번은 ‘밤의 노래’, 8번은 ‘파우스트’, 9번은 ‘고별’에 관한 이야기다. 그중에서도 4번은 유독 말러만이 표현할 수 있는 세계라는 생각이 든다.

 

말러와 브루크너를 통한 공부와 음악적 정화

임헌정이 촬영한 말러의 오두막

25년 전 부천필과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를 하게 된 계기와 심정을 듣고 싶다. 사반세기가 지난 지금, 현재의 말러 연주를 들으면 어떤 느낌이 드는지 궁금하다.

서울대 작곡과 교수로 지낸 지 10년이 지났을 무렵, 개교 50주년 기념으로 어떤 곡을 연주할지 고민하고 있었다. 내가 70학번인데 당시에는 재학 당시에 서울대 음악대학이 지금의 을지로 6가에 있었고, 1976년에 관악 캠퍼스 예술관으로 이전했다. 을지로 세대가 관악에 오니 음대생끼리도 서로 모르고, 교수들도 몰랐다. 그래서 음대 전체를 아우르는 음악회를 열고자 했다. 말러 2번을 연주할까? 1시간 20분이나 걸리는데 어떻게?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결국 하게 됐다. 건강이 좋지 않아 앉아서 지휘했는데 5악장 마지막 부분에서 벌떡 일어났다. 자신감이 붙었다. 건강이 악화된 때였지만, 죽음도 생각하고, 신이 나에게 말러를 연주하라는 뜻인가 싶었다. 결국 4년 뒤, 말러 전곡 연주를 시작했다. 1999년 7월 예술의전당 안호상 국장(현 세종문화회관 사장)을 포섭해 개런티 없이 예술의전당과 공동주최하기로 했다. 단원들과도 한번 해보자는 열정이 모였다. 기자간담회 때 말러 연주가 시기상조라는 의구심도 많았는데, 당시 조선일보 김용운 기자, 중앙일보 이장직 기자, 동아일보 유윤종 기자 그리고 한국일보 오미환 기자 등이 기사로 옹호해 주어 지금도 고맙게 생각한다. 요즘 TV에 중계되는 말러 연주를 듣다 보면 ‘공부 좀 더 하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음악에 더욱 진지해졌으면 좋겠다.

코리안심포니(현 국립심포니)와 녹음한 ‘브루크너 교향곡 전곡’ 음반은 2017년 미국 브루크너 협회가 선정한 ‘올해의 음반상’을 수상하는 등 전 세계 평론가들과 애호가들에게 언급되며 컬트 아이템이 됐다. 브루크너 감상법을 안내해 준다면?

말러와 브루크너 음악의 차이를 생각하면 지휘자 브루노 발터(1976~1962)의 말이 떠오른다. “말러는 끊임없이 신을 찾았고, 브루크너는 이미 신을 찾았다.” 정답은 없다. 많이 들어보고, 참고 자료를 많이 읽어보시라. 난 브루크너를 연주한다는 후배나 제자들에게 무조건 아무거나 해보라고 한다. 책을 보든, 들어보고 궁금해하든. 가만히 있으면 남이 해주지 않는다. 스스로 느껴야 한다. 앞으로 브루크너의 교향곡을 선보이며 ‘브루크너 전도사’가 되고 싶다.

우리나라 오케스트라의 발전을 위해서는 어떤 점들이 필요하다고 느끼나?

직업윤리가 있어야 한다. 늘 “불량 연주하지 맙시다”라고 말한다. 음악은 정신적인 양식인데 불량식품이 사회를 해치는 4대 악 중 하나이듯, 불량 연주도 마찬가지이다. 도립교향악단은 도민들을 위한 양질의 연주를 해야 한다. 이런 생각에 동의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앞으로도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세상에는 강제할 수 있는 것들이 많지 않더라.

앞으로의 계획은?

단원들 충원을 해야 하지만, 내 마음대로 되지 않는 일이다. 도의회에서 승인을 해주고, 합의를 해야 한다. 어느 정도 단원이 충원되면 태교 음악회, 청소년 악단과 성인 악단이 함께 하는 합동 음악회 등 여러 공연을 할 예정이다. 충북 곳곳에 선한 음악적 영향력을 전하며 살고 싶다.

창간 30주년을 맞은 2014년 4월호 ‘객석’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 40주년을 맞이한 ‘객석’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벌써 40주년인가. ‘객석’은 우리나라 초창기 클래식 음악 잡지이다. 여러 잡지 중에서도 가장 권위 있고, 늘 관심의 대상이었다. 앞으로 계속 건승하시기를 바란다. 우리나라의 중심 잡지로서 음악계의 이모저모를 담아내는 중심의 역할을 하길 기원한다. 치우치지 않고 순수하게 남아주길 당부하고 싶다.

류태형(음악 칼럼니스트·대원문화재단 전문위원) 사진 충북도립교향악단

 


 

제천 배론성지 말러 공연장으로 선정되다

 

배론성지는 충북 제천 봉양읍에 위치한 천주교 성지이다. 180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탄압을 피해 숨어 들어온 신자들의 은신처로, 마을 계곡이 깊어 배 밑창을 닮았다는 데서 ‘배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순교자 황사영이 지내던 곳인 황사영 백서 토굴과 1855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신학교이자 근대식 교육기관인 성 요셉 신학교, 순교자 최양업 신부 묘는 배론성지의 세 가지 보물로 여겨진다. 2001년 3월 2일 충청북도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되었다.

 

 

Performance information

임헌정/충북도립교향악단(협연 이명주)

3월 21일 오후 7시 30분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3월 28일 오후 7시 30분 음성문화예술회관

4월 4일 오후 7시 30분 제천 배론성지

로시니 현을 위한 소나타 3번, 말러 교향곡 4번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