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40 | 
레코드상 휩쓸고 전성기 맞은 피아니스트 백건우 1 내한연주와 인터뷰 2 레코드 라이브러리 – 백성현 / 최갑주  | 
| 음악 교양 | ||
| ■ | 24 | 
계절 이야기 이제 막 피어나는 신록같은 새내기들 – 윤석산  | 
| ■ | 62 |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 전바탕 발표한 지애리 섬세한 기교로 수놓은 환상적 가락  | 
| ■ | 64 | 
김기순 플루트 독주회 그윽한 봄 밤, 새들의 지저귐같이ㆍㆍㆍ  | 
| ■ | 66 | 
모스크바 챔버와 상트 페테르스부르크 필 8중주단 내한 공연 슬라브 풍의 강렬함과 섬세함의 조화  | 
| ■ | 68 | 
줄리언 브림 기타 독주회 거친 호흡, 신음 소리까지도 나의 음악입니다  | 
| ■ | 70 | 
맹인 피아니스트 니콜라스 콘스탄티니디스 내한 연주회 건반 위에 쏟아진 신의 햇살  | 
| ■ | 72 | 
서울시향과 협연한 아민 로진 트럼본도 이렇게 매력있는 악기인 것을ㆍㆍㆍ  | 
| ■ | 74 | 
리골레토ㆍ포스카리가의 두사람ㆍ카르멘 유럽 본토인을 대거 기용, 완성도 높여  | 
| ■ | 77 | 
예술, 나의 삶 나의 길 / 재중교포 작곡가 김정평 통일의 날, 찬란한 종지를 꿈꾸며ㆍㆍㆍ – 공윤조  | 
| ■ | 86 | 
요즘 무슨 음악을 듣고 계십니까 / 정목 스님 현세에 지친 영혼의 쉼터에서 듣는 ‘대지의 노래’ – 배석호  | 
| ■ | 88 | 
한국의 소리를 찾는다 / 쟁기질 소리 예쁜 계집애 배 먹어가듯 사운사운 – 최승범  | 
| ■ | 90 | 
생활과 음악 / 서강대 독문과 교수 이주동 고단한 삶의 빈 뜨락에 내려앉는 햇살처럼ㆍㆍㆍ  | 
| ■ | 139 | 
교향악축제 5년의 결산과 진단 원래 취지 살려 국민적 축제로 발전시켜야  | 
| ■ | 144 | 
베토벤 실내악 축제 청중들의 호응과 어우러진 앙상블의 묘미 – 이장직  | 
| ■ | 146 | 
오페라 캐릭터별 명가수 세계 오페라사의 운명의 힘, 베르디 가수들 – 맹인남  | 
| ■ | 218 | 캐리커처와 함께하는 음악가 이야기 / 쇤베르크 – 이경랑 | 
| 특집 | ||
| ■ | 197 | 
예술과 의학 1 음악과 의학의 상관관계 2 한방체계와 음양오행식의 음악치료 3 양방체계와 음악요법의 활용 4 연극에서의 심리요법 / 사이코 드라마 5 무용과 치료효과 6 미술을 이용한 치료 7 외국의 예술요법 실태 – 정영조 / 윤태원 / 김유광 / 류분순 / 김동연 / 최병철  | 
| 객석 리뷰 | ||
| ■ | 222 | 
음악 / 서울 오페라극장의 운영과 교향악축제의 재검토 국악 / 국악계에 이는 변화의 새 바람 연극 / 상상력과 신명, 그리고 센티멘탈리즘 한국무용 / 창작춤의 모던화, 현대춤의 한국화 현대무용ㆍ발레 / 수준작과 졸작의 분명한 차이 – 김형주 / 이인원 / 김미도 / 이상일 / 문애령  | 
| 해외현지취재 | ||
| ■ | 52 | 글래스고우 현지취재 / 박정원 주역, 오페라 ‘펠레아스의 인상’ – 남육현 | 
| ■ | 56 | 
바르샤바 현지취재 / 폴란드 최고의 흥행 뮤지컬 ‘메트로’ 브도드웨이 형식과 슬라브적 멜랑콜리의 만남 – 문승욱  | 
| ■ | 142 | 
러시아에서 열린 ‘한국작곡가의 밤’ 이색적 교류, 국제무대에서의 창악회 위치 확인 – 정태봉  | 
| ■ | 216 | 
파리 르 발르와 극장의 화제작 ‘불의 실험’ 한 편의 시같은 아름답고 슬픈 이야기 – 김윤경  | 
| ■ | 236 | 해외예술계리포트 | 
| 바로크에서 현대까지 작곡가 집중탐구 40 | ||
| ■ | 111 | 
리하르트 쉬트라우스 1 뮌헨 현지취재 2 명예와 치욕이 함께했던 삶 3 문필가로서의 쉬트라우스 4 교향시와 관현악법의 음악사적 위치 5 바그너 오페라의 영향과 쉬트라우스 6 지휘자로서의 쉬트라우스 7 독일가곡과 쉬트라우스 8 쉬트라우스에 관한 에피소드 9 명반과 명연주가 – 우수정 / 김길영 / 홍승찬 / 노승종 / 김원구 / 송영택  | 
| 연극 | ||
| ■ | 156 | 
오늘, 세계의 예술가들 / 마임이스트 밀란 슬라덱 1 내한공연 취재 2 인터뷰 – 주유미 / 이원양  | 
| ■ | 164 | 
배우 이야기 / 최정우 ‘분갈이’를 통해 새롭게 태어난 주인공  | 
| ■ | 166 | 
극단 자유의 ‘햄릿’을 만든 사람들 죽음과 광대 그리고 정선아리랑 곡조  | 
| ■ | 170 | 
울타리굿과 플럭서스 페스티벌 싱거운 놀이와 예술의 융합을 시도 – 김문환  | 
| ■ | 174 | 
93 신춘문예 희곡 당선작 공연 진지한 축제로 자리잡은 신인들의 데뷔 무대 – 백현미  | 
| 무용 | ||
| ■ | 180 | 
시와 무용, 어떻게 만났나 1 자작시 ‘나비’와 김경화의 춤 2 안무가가 말하는 시의 해체 3 참여시인이 본 시와 춤 4 현장 스케치 – 김영태 / 김복희 / 하재봉 / 장광열  | 
| ■ | 190 | 
봄무대, 화제의 현대무용가 1 김기인과 ‘운명’ 2 전미숙과 ‘오팔년 개띠’ 3 장정윤과 ‘계절’  | 
| 오디오 레코드 | ||
| ■ | 248 | 
AV 특선 / 메트로풀리탄 박물관에서의 캐스린 배틀 문화 유산 속에 피어난 한떨기 흑장미 – 정우광  | 
| ■ | 250 | 
편리한 홈레코딩 / 마이크와 녹음기, 어떻게 사용하나 컴팩트한 기기로 양질의 음을 재생한다 – 이재홍  | 
| ■ | 254 | 
해외 오디오 시장 동향 최첨단 디지털 기술의 팀브리 테크놀로지 TT-1 D/A 컨버터  | 
| ■ | 258 | 
스페셜리스트와 명반 / 쿠르트 바일의 명가수 우테 렘퍼 ‘끼’ 다분한 전전후 엔터테이너 – 이정헌  | 
| ■ | 263 | 
재미있는 오디오 이야기 / 개성에 의한 스피커 선택 덩치보다는 쓰임새가 중요 – 윤종민  | 
| ■ | 264 | 레코드 리뷰 | 
| ■ | 265 | 새로나온 레코드 | 
| 권말부록 | ||
| ■ | 279 | 
예음상 수상자와 평론상 당선작 발표 1 각부문별 심사평 2 예음상 평론부문 당선 소감 3 양악평론부문당선작 / 세종문화회관 조직 및 기능의 바람직한 개편 방향 – 용호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