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40 | 1 알렉산더 드미트리에프 지휘, 레닌그라드 심포니 내한공연 2 바이올리니스트 강동석 인터뷰 3 피아니스트 채정원 인터뷰 – 배석호 | 
| 음악 교양 | ||
| ■ | 24 | 12월 이야기 – 이현주 | 
| ■ | 50 | 이혜경과 함께 본 잉글리드 헤블러 연주회 순수한 소리, 모차르트의 성녀처럼 | 
| ■ | 54 | 블라디미르 크라이네프 피아노 독주회 | 
| ■ | 55 | 샤론 이즈빈 기타독주회 | 
| ■ | 56 | 폴란드 지휘자 타데우쉬 스트루가와 인터뷰 | 
| ■ | 57 | 폴란드 국립 방송교향악단 내한공연 | 
| ■ | 60 | 김의명ㆍ이대욱 듀오 연주회 | 
| ■ | 61 | 정찬우ㆍ김금봉 모차르트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연주회 | 
| ■ | 62 | 5인의 여류 플루트 연주회 | 
| ■ | 63 | 안트리오 연주회 | 
| ■ | 64 | 레닌그라드 모차르테움 실내악단과 협연한 양고운 | 
| ■ | 65 | 코플랜드와 존 듀크 렉처 콘서트 | 
| ■ | 66 | 서울졸리스텐 30회 정기연주회 | 
| ■ | 67 | 충남교향악단 서울연주회 | 
| ■ | 68 | 김자경오페라단의 ‘메리 위도’ 공연 코믹한 분위기와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 – 이숙경 | 
| ■ | 74 | 서울국제음악제 스위스 로망드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예음클럽 실내악의 밤 서울국제음악제의 솔리스트들 – 백성현 | 
| ■ | 84 | 가야금산조 여섯바탕전 강정숙ㆍ지미자의 열연으로 대미를 장식 | 
| ■ | 87 | 제2회 유성기 음반 전시 및 학술대회 | 
| ■ | 96 | 찬반론 / 앙드레김 VS 탁계석 음악회장의 화환장식 | 
| ■ | 98 | 바하협회부회장의 ‘칸타타의 신학적 배경’ 강연회 | 
| ■ | 126 | 객석미술관 / 조각가 정보원 “나의 작품은 점점 투명해지고ㆍㆍㆍ” | 
| ■ | 130 | 생활과 음악 / 염영하 마음을 울리는 종소리, 그 신비를 풀기 위해ㆍㆍㆍ | 
| ■ | 166 | 악기탐방 / 호른 목관과 금관의 이질적 음색을 하나로 통일 – 강병항 | 
| ■ | 170 | 전통음악의 재발견 / 대금산조 우리가 상상하는 신비의 소리에 가장 근접 – 진회숙 | 
| ■ | 172 | 국악명반을 찾아 김소희의 카네기홀 공연 기념 음반 – 배연형 | 
| ■ | 174 | 음악회, 음악감상야화 오페라와 합창, 벨칸토의 진수를 차례로 대면 – 정계환 | 
| ■ | 178 | 위대한 지휘자들 / 하이든과 모차르트 명지휘자들의 출발, 섬세함과 심미안 강조한 두 거장 | 
| ■ | 232 | 국제예술심포지움과 요로겐 씸 인터뷰 | 
| ■ | 234 | 폴란드통신 / 오늘날의 피아노음악 그 동질적 음색에도 최대의 다양성을 보유 – 세퍼 | 
| 모차르트 200주기 특별기획 | ||
| ■ | 137 | 1 특별좌담 2 모차르트의 종교관 3 레퀴엠과 종교음악 4 종교음악 명반 10선 5 모차르트 스페셜리스트 – 김금봉 / 신수정 / 이대욱 / 강성곤 / 박종윤 / 선병철 / 김길영 | 
| 해외현지취재 | ||
| ■ | 90 | 세계의 음악원 / 일본 도호학원대학 대학과 음악원의 장점 채택한 고유한 시스템 – 박민혜 | 
| ■ | 100 | 세계 민속음악 현장기행 실크로드의 상권을 장악했던 부라하의 음악 – 전인평 | 
| ■ | 120 | 쳄발리스트 라파엘 푸이아나 인터뷰 란도프스카를 잇는 건반의 대가 – 김윤경 | 
| ■ | 240 | 해롤드 핀터 연출의 ‘관리인’ 런던 공연 변함없는 주제의식, 자기 정체성의 탐구 – 남육현 | 
| 집중기획 | ||
| ■ | 104 | 소련 공산당 붕괴로 살펴본 소련 음악 75년 2 과도기, 그러나 결코 낙관할 수 없는 미래 한국계 소련 예술가들의 전망 – 넬리리 / 루드밀라남 / 맹동욱 | 
| ■ | 114 | 시사주간지 ‘타임’표지 등장 음악가들 1 토스카니니 음악적인 악마, 또는 신 같은 존재 – 이인우 | 
| ■ | 160 | 체르니 탄생 2백주년 재조명 타고난 근면함으로 피아노의 양식과 기술을 체계화 – 김학민 | 
| 객석리뷰 | ||
| ■ | 314 | 뮤지컬 ‘영혼의 노래’ ‘그대 거기 왕관을 쓰고 있어도’ 극단수업의 ‘깔리귤라’ 김선이의 ‘멍에 벗던 날’ ‘춤 자하’ 창단공연 – 심정순 / 백현미 / 이상우 / 김영태 / 문애령 | 
| 바로크에서 현대까지 작곡가 집중탐구 24 | ||
| ■ | 185 | 차이코프스키 1 모스크바 현지취재 2 음악적 성장기 모습과 그의 후예들 3 차이코프스키의 사랑과 결혼 4 만년의 모습과 죽음 5 동시대 음악가들과의 교류 6 3대 발레 명작 7 문학정신이 승화된 오페라의 세계 8 교향곡, ‘겨울의 환상’에서 ‘비창’까지 9 관현악 명곡 감상 10 피아노 음악, 소품의 세계 11 작품에 얽힌 이야기들 12 레코드로 듣는 명곡 – 류미정 / 노영해 / 김송현 / 조경희 / 이장직 / 이재연 / 조성진 / 최학 / 박정선 / 채혜련 / 김원구 / 이상훈 | 
| 연극 | ||
| ■ | 250 | 빵과 인형극단의 ‘콜럼부스 신세계의 질서’ 도대체 당신은 누구입니까? | 
| ■ | 252 | 연극 ‘검찰관’에서 만난 가짜검찰관 서희승 한우물파기 20년, 마침내 주목받는 배우로 부상 – 주유미 | 
| ■ | 256 | 배우협회 창립공연 ‘출세기’ “언젠가는 빛이 보이겠지. 희망이ㆍㆍㆍ” – 김미도 | 
| 무용 | ||
| ■ | 262 | 춤의 현장 / ‘백조의 호수’ 전막공연한 박금자 한국의 최고의 발레단 꿈꾸는 광주발레의 대모 – 장광열 | 
| ■ | 266 | 손인영의 ‘우리춤’ 공연 한 젊은 무용가의 자기성찰의 춤 | 
| ■ | 268 | 제13회 서울무용제 새롭게 변신해야 할 공공 춤제전 – 김채현 | 
| 오디오 레코드 | ||
| ■ | 276 | 명곡, 라이브러리 /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 – 김범수 | 
| ■ | 279 | ‘객석’이 있는 집 / 대구 ‘필하모니’ | 
| ■ | 280 | 장르에 따른 오디오 조합 / 성악편 목소리의 미묘함, 생동감을 살린다 – 정우광 | 
| ■ | 284 | 각국 오디오 명품 시리즈 / 미국편 1 앰프 / 초고급품으로 활로 개척 2 스피커 / 아메리칸 사운드의 주역들 – 이재홍 / 김기인 | 
| ■ | 296 | 오디오 테스트용  CD 체크 용도에 따라 다양, 내용은 엇비슷 – 김완규 | 
| ■ | 298 | 해외출반 레코드 뉴스 | 
| ■ | 300 | 이달의 LP, CD평 | 
| ■ | 302 | 새음반 새테이프 | 
| 별책부록 | ||
| ■ | 공연예술종합안내 / 객석가이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