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ver Story | ||
| ■ | 38 | 배우 황정민 | 바다, 그 꿈의 조각들 – 나윤정 |
| Monthly Focus | ||
| ■ | 30 |
피아니스트 임현정 나의 베토벤은 뜨겁다 – 김선영 |
| ■ | 34 |
아메리칸 발레 시어터의 ‘지젤’ 낭만발레의 꽃봉오리가 피어나는 계절 – 장인주 |
| From Abroad | ||
| ■ | 52 |
제75회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세대교체의 현장 – 배윤미 |
| ■ | 56 |
랭 오페라의 비발디 ‘파르나체’ 영웅의 두 마음 – 배윤미 |
| ■ | 56 |
베를린 슈타츠오퍼의 카발리에리 ‘영혼과 육신에 관한 극’ 생각할 여지를 남기는 수작 – 이설련 |
| ■ | 64 |
피아니스트 김선욱ㆍ조성진 파리를 감동시킨 한국 청년들 – 김나희 |
| ■ | 68 |
베를린 필의 댄스 프로젝트 ‘카르멘’ 정상의 오케스트라, 아마추어 댄서와 만나다 – 황보유미 |
| ■ | 70 |
마이크 니콜스 연출 ‘세일즈맨의 죽음’ 시대의 추락, 가장의 비애 – 데스먼드 추윈 |
| ■ | 74 |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고전 소리로 빚어진 아시아의 힘 – 현경채 |
| Special | ||
| ■ | ISPA 2012 서울총회 | |
| ■ | 78 |
한류 그리고 한국의 예술가 이제, 우리 모여 새로운 물결을 이야기하자 – 김선영 |
| ■ | 80 |
도시와 다문화 모두를 안아라, 그것이 도시 예술의 숙명이다 – 박용완 |
| ■ | 83 |
예술과 기술 테크놀로지로 예술을 향유하라 – 이장직 |
| ■ | 86 |
미래의 리더십 창조와 공유의 가치를 높여라 – 김선영 |
| Current Issue | ||
| ■ | 18 |
I AM THE READER 삼십대의 끝자락, 클래식이 들리기 시작합니다 – 김지호 |
| ■ | 24 | BRIEFING |
| ■ | 26 | PICK |
| ■ | 27 |
런던에서 열린 본지 주최 자선 콘서트 천사를 만나다 – 박용완 |
| ■ | 28 |
풍경이 있는 에세이 감동을 이루는 시간 – 김용연 |
| ■ | 88 |
FAVORITE | 바이올리니스트 이보경 소녀의 시간은 여인의 시 – 박용완 |
| ■ | 116 |
TOPIC | 구미국제음악제 출범기념 음악회 문화도시로 향하는 따뜻한 기다림 – 손혜정 |
| ■ | 118 |
VIEW | 하트하트오케스트라 기적은 이와 같이 문을 두드린다 – 김선영 |
| Core | ||
| ■ | 92 | 노먼 레브레히트 칼럼 방송교향악단에 관한 찬사 |
| ■ | 94 | 파보 예르비/프랑크푸르트 방송교향악단 내한 공연 – 이영진 |
| ■ | 95 | 다니엘 뮐러 쇼트 첼로 독주회 – 최은규 |
| ■ | 96 | 2012 아리랑 페스티벌 – 이소영 |
| ■ | 97 | 다정도 병인 양하여 – 이은경 |
| ■ | 98 | 풍월주 – 원종원 |
| ■ | 99 | 슈투트가르트 발레의 카멜리아 레이디 – 장광열 |
| ■ | 100 |
유영대의 21세기 명창론 | 김영자 삼박자 다 갖춘 우리시대의 배우 |
| ■ | 104 |
DANCING CULTURE | ‘젊은이와 죽음’ 청년 롤랑 프티의 출세작 – 유형종 |
| ■ | 108 |
20세기 클래식 | 조지 거슈윈② 20세기의 선택 – 하종욱 |
| ■ | 112 | 이달의 추천 공연 |
| Play & Dance | ||
| ■ | 122 |
STAGE PREVIEW | ‘전명출 평전’ 돌아온 전명출이 1990년대를 소환하는 방식 – 김옥란 |
| ■ | 126 |
INTERVIEW | ‘콩칠팔 새삼륙’ 작사작곡가 이나오 음표로 깨운 경성시대 – 나윤정 |
| ■ | 128 |
MUSICAL STAR | 뮤지컬 배우 정성화 별을 그리며 길을 열었다 – 나윤정 |
| ■ | 132 |
DANCING PEOPLE | 발레무용수 김현웅 마음의 빛을 따라가련다 – 손혜정 |
| Record & Art | ||
| ■ | 138 |
DISCO-BIOGRAPHY | 마리스 얀손스② 음악을 희망이라 부르는 사나이 – 유혁준 |
| ■ | 142 |
MUST LISTEN | 게오르그 숄티 1970년대 데카 출반 관현악 전집 그가 오페라극장을 나선 후 – 이장직 |
| ■ | 144 | 자일러ㆍ이메르세일의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전곡 – 최은규 |
| ■ | 146 | 프랑수아 프레데리크 기의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2집 – 김주영 |
| ■ | 148 | 어윈 슈로트의 아리아집 – 유형종 |
| ■ | 153 | 동그라미를 꺼내다 – 최준림 |
| ■ | 154 | ART | 국립현대미술관 ‘Move : 1960년대 이후의 미술과 무용’ 전 |
| ■ | 156 | ART | 마르크 리부 사진전 |
| ■ | 158 | ART OF JUNGMISO | ‘박정자, 사진의 밤’ |
| ■ | 160 | BOOKS | ‘내 인생의 영화’ 외 |
| ■ | 161 | VENUE | 레코드포럼 |
| ■ | 162 | ‘객석’의 특별한 선물 |
| ■ | 163 | 정기독자 선물 |
| ■ | 170 | 회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