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교향악축제

사반세기의 시작, 또 하나의 기로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13년 5월 1일 12:00 오전


▲ 정치용/창원시향

올해 25회를 맞이한 교향악축제는 예년과 달라진 면모를 보였다. 신예 연주자들이 매 공연마다 협주곡 무대를 꾸몄다. 브루크너 교향곡은 절대 다수를 차지한 브람스 교향곡 프로그램 사이에서 눈에 띄었다. 하지만 짧지 않은 역사를 쌓으며 지방 교향악단의 발전에 기여한 교향악축제이기에 아쉬운 점도 많았다.

올해는 예술의전당 음악당 개관 25주년을 맞는 뜻 깊은 해다. 개관 이듬해 시작해 예술의전당의 간판 프로그램이자 국내 최대 규모의 음악제로 자리 잡은 교향악축제도 25회를 맞아 예년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주었다. 국립국악관현악단(지휘 원일)이 처음으로 축제에 참가했고 협연자 명단을 신예 연주자 위주로 꾸민 것이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이다. 반면 지난해 페스티벌 오케스트라와 대학 오케스트라까지 포함한 22개에 비해 16개로 줄어들었고 국공립 오케스트라 중에서는 경기도립교향악단·경북도립교향악단·대구시향·군산시향·성남시향·포항시향·강릉시향·목포시향·춘천시향 등이 불참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었다. 2013 교향악축제를 다섯 개의 키워드로 정리해보았다.

브루크너
올해 프로그램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작곡가는 브람스다. 드보르자크·라흐마니노프·차이콥스키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이 평소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레퍼토리다. 그런 의미에서 가장 눈에 띄는 프로그램은 브루크너의 교향곡이었다. KBS교향악단(지휘 박은성)이 3번, 창원시향(지휘 정치용)이 6번, 부산시향(지휘 리신차오)이 9번을 연주했다. 베르디와 바그너의 탄생 200주년을 맞는 해이지만 둘 다 협주곡이나 교향곡과는 거리가 먼 작곡가이기 때문에 브루크너를 택한 것 같다. 더구나 브루크너의 작품에는 바그너의 영향이 짙게 깔려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필자가 가본 공연은 창원시향의 연주였다. 지난해 마산시향과 창원시향이 통합되면서 130명이라는 국내 최대 규모의 교향악단이 탄생하면서 객원 연주자 없이도 말러·브루크너 등 대규모 작품을 충분히 연주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에 통합 이후의 음악적 앙상블이 자못 궁금하던 터였다. 우려했던 것과는 달리 악기군 간의 밸런스나 호흡은 나무랄 데 없었다. 마산과 창원을 오가면서 공연 횟수를 늘려온 연주 경험이 고스란히 묻어나오는 연주였다.
한동안 국내 교향악단들이 앞 다투어 연주하던 말러 교향곡의 열기가 브루크너로 옮겨진 것 같은 느낌이다. 하지만 베르디와 바그너 200주년에 열리는 교향악축제라면 베르디나 바그너의 서곡 몇 곡쯤은 연주해야 옳다. 베르디와 바그너가 협주곡이나 교향곡을 남기지 않았지만 오케스트라가 연주할 수 있는 레퍼토리는 교향곡과 협주곡 말고도 서곡·모음곡·관현악 반주의 가곡 등 매우 다양하다. 바그너의 ‘지크프리트 목가’ ‘베젠동크 가곡’도 있고 지휘자 에릭 라인스도르프나 로린 마젤이 관현악 버전으로 편곡한 ‘니벨룽의 반지’도 있다. 시립합창단이 있는 도시의 교향악단이라면 베르디의 ‘레퀴엠’에 도전장을 내밀 수도 있지 않았을까.
교향악축제는 25년이라는 결코 짧지 않은 역사와 연륜을 쌓아오면서 지방 교향악단의 발전에 기여해온 바가 적지 않다. 하지만 시즌 중 실내 공연장에서 별 특색 없는 레퍼토리로 꾸미는 오케스트라 시리즈라는 점에서 제대로 된 음악 페스티벌과는 거리가 먼 게 사실이다. 이제 새로운 사반세기의 시작점에서 과감한 개혁이 필요하다. 테마도 없고 예술감독도 없는 축제란 무의미하다. 프로그램의 최종적인 결정권은 각 교향악단에게 달려 있지만 이에 앞서 축제가 어떤 주제를 내세우느냐에 따라 레퍼토리 선택을 위한 큰 틀이 달라질 수 있다. 가령 올해 주제를 ‘베르디와 바그너’로 잡았더라면 좋았겠지만 이미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아니면 두 명 정도의 작곡가를 정해놓고 교향곡이나 협주곡 전곡 시리즈를 꾸밀 수도 있다.

젊음
올해 교향악축제의 가장 큰 특징은 신예 연주자들로 협주곡 무대를 꾸몄다는 점이다. 그래서인지 예년보다 많은 관객이 공연장을 가득 메웠다. 외국 유명 교향악단에서 수석주자로 활동하고 있는 첼리스트 다니엘 리(세인트루이스 심포니), 플루티스트 최나경(빈 심포니)을 비롯해 바이올리니스트 이지혜·신지아·권혁주·김수연·클라라 주미 강·김윤희, 클라리네티스트 김한, 첼리스트 이상은, 피아니스트 김규연·이진상·김태형·김다솔·김효선 등 최근 몇 년 사이에 세계적인 국제 콩쿠르에 입상한 차세대 연주자들이 무대를 빛냈다.
그동안 ‘클래식 한류’라는 신조어가 탄생할 정도로 수많은 신예 연주자들이 국제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지만 정작 이들이 설 수 있는 국내 무대는 여전히 비좁은 게 엄연한 현실이다. 그런 뜻에서 이번 교향악축제에서 높은 지명도와 청중 동원 능력을 갖춘 중견 연주자보다 한국 음악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거장에게 무대를 마련해준 것은 높이 살 만하다. 하지만 페스티벌 전체의 비중이 신예 연주자들의 협연 무대로 지나치게 쏠린 것 같은 느낌이다.


▲ 금노상/대전시향과 피아니스트 김태형

앙코르
협주곡이 끝난 뒤 독주자가 들려주는 앙코르는 모든 프로그램이 끝난 뒤에 하는 앙코르에 비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박수가 끊이지 않고 커튼콜이 거듭되어 앙코르를 들려주지 않으면 음악회가 진행되지 않을 경우에 한해 짧은 한 곡만 연주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하지만 이번 교향악축제에서 협연자의 앙코르는 ‘특별 메뉴’가 아니라 당연하게 또는 의무적으로 연주해야 하는 의례적 순서가 되고 말았다. 앙코르 곡 제목을 자막에 띄우는 것도 모자라서 오케스트라가 앙코르 곡을 반주하는 어이없는 일도 벌어졌다. 사전에 오케스트라와 연습까지 했다는 얘기다. 인터미션 때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무대에 계속 앉혀놓고 독주자가 무려 서너 곡의 앙코르를 연주하는 것은 협주곡과 독주자의 앙코르 곡 외의 다른 프로그램이 부실하다는 사실을 역설적으로 웅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후반부 곡이 끝난 뒤에도 오케스트라의 앙코르 연주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코스인 것 같았다. 연주 시간은 휴식 시간을 포함해 두 시간을 훨씬 넘기는 게 보통이었다. 프로그램에 예고되지 않은 앙코르를 덤으로 듣는 것은 음악회 가는 즐거움 중 하나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훌륭한 연주에 대한 뜨거운 박수갈채에 대한 답례로 연주자가 자발적으로 들려주는 ‘음악 선물’이다. 모든 협연자가 두세 곡의 앙코르 곡을 연주하는 것은 앙코르의 근본 취지와 맞지 않다. 독주자가 앙코르 연주를 미리 계획하고 있다면 협주곡 연주에서도 체력 안배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 연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자막
프로그램 책자가 있는데 작곡자와 곡명을 굳이 스크린에 자막으로 띄우는지 모르겠다. 한번은 1악장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2악장의 악상 기호가 스크린에 등장하면서 혼란을 초래하기도 했다. 악장 사이의 박수를 막기 위해 도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교향악축제는 일반적인 정기 연주회보다 클래식 초심자들이 많이 오는 게 사실이지만, 자막을 띄운다고 악장 사이의 박수가 사라지진 않는다. 시선을 분산시켜 음악회 분위기만 산만하게 만들 뿐이다.

파이프오르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정면 합창석 뒤편의 넓은 벽면은 원래 파이프오르간이 있어야 할 자리다. 예술의전당 음악당은 건물 설계도에도 엄연히 나와 있는 파이프오르간 설치를 25년 넘게 미루어왔다. 잠실 제2롯데월드 타워에 들어설 롯데콘서트홀에 파이프오르간이 모습을 드러내면 예술의전당 정면 벽면의 썰렁한 느낌은 더욱 가중될 것이다. 교향악축제가 더욱 풍성해지기 위해서라도 파이프오르간 건립은 시급한 문제다. 올해 축제의 피날레 공연에서 수원시향(지휘 김대진)이 마지막 곡으로 고른 생상스의 ‘오르간 교향곡’은 그런 의미에서 잘못 선택한 레퍼토리다. 레스피기의 ‘로마의 소나무’,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말러의 교향곡 2·8번 등을 예술의전당에서 연주하는 것은 다소 무모한 일이다. 파이프오르간이 없다는 사실을 엄연히 알면서도, 볼품없는 스피커로 소리를 내는 전자 오르간을 빌리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굳이 ‘오르간 교향곡’을 고른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 열악한 음향으로 전자 오르간 소리를 냄으로써 예술의전당에 파이프오르간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역설하기 위해서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고 파이프오르간이든 전자 오르간이든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서 고른 레퍼토리라면 매우 위험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글 이장직 객원 전문기자(lully@) 사진 예술의전당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