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상드르 타로 피아노 독주회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16년 7월 1일 12:00 오전

6월 8일
LG아트센터

프랑스의 서정이 담긴 은은한 골드베르크

어떤 것이든 긴 호흡으로 여유를 갖고 바라보아야 하지만,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음악계도 기다림의 유통기한이 짧아진 것이 사실이다. 해가 바뀌면 잊지 않고 찾아오는 단골 내한 연주자들에게서 예전과 굳이 달라진 점을 찾는 것은 쉽지도 않고 의미 없는 일일 수 있다. 짧은 호흡과 조급함으로 인해, 자신의 스타일을 암중모색 중인 연주자들을 ‘변화 없음’의 부정적 굴레에 씌워버리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될 일이다.

청중은 아티스트의 변화가 ‘적당히’ 나타났을 때 가장 환호하며, 그 변화의 양이 자신이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일 때 편안함을 느낀다.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들고 돌아온 알렉상드르 타로의 연주는 최근 출시된 동명의 곡이 담긴 음반과 사뭇 다른 모양새였다. 연주가 끝난 후 필자는 두 가지가 무척 재밌었다. 첫 번째는 잘 알려진 마스터피스에 이렇게 많은 자유로움을 주었음에도 그 뒷맛이 장황하지 않고 개운했다는 점. 두 번째는 연주 후 다시 음반을 들었을 때 타로의 해석이 녹음 당시 여러 기준점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재발견했다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어디까지가 무대에서의 즉흥이고, 실연을 위해 미리 설정해놓은 악상은 어떤 것인가. 새로운 고민이 시작됐지만 이 또한 새로운 프랑스 피아니즘의 한 축을 책임지고 있는 타로를 만나는 즐거움이다. 비밀스럽고 모순적인 매력의 프랑스적 풍모를 통해 바흐를 비춰내는 과정은 그 자체로 즐겁게 다가왔다.

이번 연주의 최대 매력은 지나친 강박이나 고지식함이 느껴지지 않는 자세가 전곡을 지배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기교적 난제나 잘게 나뉜 리듬의 처리에서 술술 흘러가게 내버려두는 낙천성도 인상 깊었다. 5·12·14·26번 변주에서 등장하는 중첩되는 손과 리듬의 교차를 이 정도로 애매함 없이 풀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짜릿함’이라고 표현될 법한 타로의 섬세한 터치는 바흐에서도 여지없이 빛을 발했다. 다만 그 투명도는 적절히 탁하게 조정되었으며, 배음도 단순한 울림에 그치도록 세심한 정성을 기울인 흔적이 보였다. 모든 음색은 바흐가 의도한 서정성에 바로크적 잣대를 적용해 그 ‘허용치’를 정확히 계산한 후 나온 것으로, 적당히 기분만 살린 표현과는 차별되는 정교함이 돋보였다. 단조인 15번 변주를 포함한 카논 변주들에서의 또렷한 성부들 간의 움직임, 전곡의 하이라이트를 형성하는 장대한 25번 변주의 유연한 흐름이 타로 특유의 쓰다듬는 듯한 음상으로 수놓였다.

7번과 24번 변주의 자연스러운 율동감도 양식적으로 명확히 들어맞는 해석이다. 아울러 원음의 방향성을 기분 좋게 지원하는 꾸밈음들도 무리가 없었는데, 예전보다 조금은 과감히 드러나는 타로의 기질로 느껴졌다. 강한 드라이브를 걸지 않도록 조절된 트릴과 장식음들은 우아함으로 연결되었다.

프랑스 피아니즘에 정통한 한 전문가는 일찍이 “타로의 가장 큰 장점은 욕심 없이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분야만을 파고든다는 것”이라고 평했다. 바로크 시대의 서정성을 프랑스 낭만파의 뉘앙스와 매력적으로 연결시키는 그의 스타일은 바흐에서도 발휘됐다. ‘프랑스’라는 이름이 등장하는 16번 변주의 서곡은 물론이고, 유희적인 20번 변주와 모처럼 피아니스틱한 음향을 나타내며 화려함을 더하는 28~30번 변주의 정서는 적당히 멋을 내 장난기가 묻어나는 파리지앵의 모습과 흡사했다. 프랑스의 고급 향수처럼 그 은은함이 오래 기억될 독특한 ‘골드베르크’였다.

사진 LG아트센터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