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수와 정구호의 ‘2 In Two’

둘과 둘의 만남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14년 4월 1일 12:00 오전

3월 6~7일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 김주원과 김보람

당대 최고의 발레리나 두 명을 한 무대에서 만난 건 행운이었다. 14년 만에 다시 보는 김지영·김주원의 앙상블은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묵은 물건이란 뜻의 단어 ‘묵정이’를 떠올리게 했다. 그동안 다시 듀엣을 춘 적은 없지만 세월과 함께 성숙미를 완성한 두 발레리나는 각자의 익숙한 묵정이에게 아름다운 메아리로 화답했다.
2000년 국립발레단 기획공연 ‘해설이 있는 발레’ 중 소품으로 발표된 안성수 안무 ‘초현(超現)’은 당시 큰 충격을 안겼다. 평방 3미터의 크지 않은 공간·탱고 음악·반복과 변형을 시도한 안무의 조화가 지금도 기억에 새롭다. 긴 치마를 날개 삼아 펼친 작은 공간에서의 화려한 베리에이션은 춤동작만으로 긴장감을 만들어낸 수작이었다. 비록 소품이긴 하지만 국립발레단 레퍼토리 중에서 가장 다시 보고 싶은 모던발레 작품으로 ‘초현’을 꼽을 때마다 과연 당시 20대의 참신한 두 발레리나를 대신할 무용수가 있을까 하는 의구심이 들곤 했다.
안무가 안성수도 같은 생각이었을까. 안성수는 ‘초현’을 재현하기보다 이를 확장해 ‘2 In Two(투인투)’를 만들었다. 여자 무용수 김주원·김지영 외에 남자 무용수 김보람·장경민이 출연했고, 총 1막 7장의 4인무를 완성했다. 탱고 외에 플라멩코도 배경음악으로 선택했다. 여기에 패션디자이너에서 공연연출가로 변신한 정구호가 연출가로 합세해 기대를 더했다.
막이 오르고 가장 먼저 시선을 끈 것은 아무래도 두 발레리나의 실루엣이었다. 더 이상 14년 전의 신선함은 없었다. 하지만 그 대신 노련함으로 무장한 두 발레리나는 안성수 특유의 빠른 발동작과 이와 대비되는 흐르는 듯한 팔동작을 완벽하게 소화하면서 여유로운 표정까지 덧입혔다. 발레 작품 속 프리마 발레리나가 아니라 소극장 무대 위의 두 여인은 훨씬 진솔한 몸짓으로 관객과 뜨거운 호흡을 나누었다.
파트너 김보람과 장경민은 현대무용수가 갖는 자연스런 태도로 이들을 지지했다. 플라멩코와 탱고 리듬이 주는 긴장감은 발레리나의 손과 발이 아니라 활력 넘치는 두 남자 무용수의 가슴에서 더 많이 느낄 수 있었다. 백색 커플 김지영·김보람, 흑색 커플 김주원·장경민이라는 뭔가 부조화를 이룰 것 같은 조합은 실제로는 훌륭한 하모니를 연출했다.
고난도의 동작인 탓에 무용수들이 쉬지 않고 소화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연출자와 안무자의 중간 해설을 삽입한 점은 아쉬운 점으로 남았다. 작품 몰입을 방해했고 50분이라는 그리 길지 않은 작품 시간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해 흐름을 끊어놓았다. 무용수 구성을 달리 하거나 다른 연출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
또한 컨템퍼러리 댄스계의 선두주자로 떠오르고 있는 김보람의 경우 4인무 중 없어서는 안 될 강한 캐릭터로서 자신의 몫을 다하긴 했으나, 발레 동작에 기초한 움직임을 모방하거나 이를 우스꽝스럽게 재연하는 듯한 인상을 남긴 점은 유감이었다. 1막 3장의 남자 듀엣 부분에서 보여준 카리스마를 4인무에서 좀더 강하게 표출했어야 했다. 결국 김보람은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했다.
‘2 In Two’는 ‘초현’의 후속작이라는 점과 흑백의 대비만으로도 성공적이었다. 일 년에 한 편은 꼭 이런 기획공연을 발표하겠다는 안성수·정구호의 파트너십에도 박수를 보낸다.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알찬 구성과 연출로 연작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글 장인주(무용평론가) 사진 박귀섭

Back to site top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