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종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투란도트’

기사 업데이트 시간: 2024년 4월 8일 8:00 오전

WORLD HOT_United States of America ➋

전 세계 화제 공연 리뷰 & 예술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투란도트’ 2.28~6.7

아무도, 잠들지 말라!

 

제피렐리의 전설적인 프로덕션에, 완성을 더한 테너 백석종의 활약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프랑코 제피렐리(1923 ~2019)가 연출한 ‘투란도트’는 그의 상징적인 오페라 연출작 중 하나다. 오페라에 대해 말하기에 앞서, 그는 성공작을 가진 영화감독이다. 그의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에선 우리에게 올리비아 핫세로 익숙한 올리비아 허시(Olivia Hassey)가 줄리엣 역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중세 시대의 베로나 지역을 아름답게 담아낸 이 영화로, 제피렐리는 셰익스피어의 고전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선구자로 평가받게 된다.

오페라 프로덕션에서도, 제피렐리는 탁월한 연출과 무대 디자인으로 업적을 남겼다. 특히 화려하고 섬세한 무대 장치와 극적인 연출은, 그를 대표하는 상징이다. 1950년대에 로시니의 오페라를 연출한 이후, 그는 세계 오페라 극장의 입지적인 인물이 되었다. 절친인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를 위해 런던·파리·미국에서 연출을 맡았고,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이하 메트)의 링컨센터 첫 프로덕션 연출자로도 기록되었다.

 

객석과 무대의 거리를 활용한 무대연출

©Karen Almond

그중에서도, 메트의 ‘투란도트’는 ‘아이다’와 더불어 웅장한 무대와 강렬한 시각적 효과로 제피렐리의 대표 프로덕션으로 자리매김한 작품이다. 특히 2막의 궁정 장면에서 무대 조명이 차오를 때면 청중의 박수가 쏟아진다. 음악과 연기로 표현되는 아름다움에, 시각적 즐거움까지 가미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면이다.

이 궁정 장면은 3막의 마지막에도 등장하는데, 거의 모든 출연진이 무대에 등장한다. 황제의 위치는 얼굴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고 멀다. 반대로 군중을 맡은 합창단은 오케스트라 피트 바로 앞까지 나와 있어 청중과 연결된 느낌을 준다. 이 둘의 물리적 거리에 놓인 경사면 무대는, 청중이 작품에 흐르는 힘의 균형을 아무런 시각적 방해 없이 주목하도록 만드는 ‘진짜 무대’가 된다.

이 기울어진 광장을 오가며 노래하는 투란도트(소프라노 크리스틴 고어크 분)와 칼라프(테너 백석종 분)의 연기는 입체적으로 그려진다. 멀고 높은 곳에서 들려오는 황제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청중은 귀를 쫑긋 기울여야 한다. 상대적으로 관객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칼라프는 무대 정중앙에서 청중을 완전히 등지고 선다. 관객이 아닌 황제를 바라보고 말하도록 한 것은, 물리적 거리 차이에서 오는 소리의 불균형을 연출의 묘를 통해 해결한 것이다.

 

호평을 끌어낸 한국인 성악가들

이러한 무대의 특수성 때문에, 투란도트가 무대 안쪽에서 노래할 때는 그 소리가 청중에게 또렷하게 도달하지 않기도 했다. 위치 문제가 아니라, 힘의 부족함은 아닐까 느껴지는 순간도 있었다.

반면 백석종이 분한 칼라프는 달랐다. 관객석에서 멀리 떨어진 무대 안쪽에서 음량이 줄어드는 현상은 피할 수 없었지만, 소리의 명징함은 변하지 않았다. 마치 양각화를 보는 듯, 소리가 귀에 ‘꽂혔다’라는 표현이 제일 적절할 것 같다.

2022년 5월 메트의 ‘투란도트’는 테너 이용훈이 칼라프를 노래했었다. 3막에 등장하는 아리아 ‘아무도 잠들지 말라’로 장내를 뜨겁게 달궜던 이용훈의 존재감이 투란도트 역을 맡은 류드밀라의 놀라운 성량과 잘 균형을 이뤘다면, 이번 공연에서는 칼라프 쪽으로 무게추가 쏠렸다. ‘나비부인’ ‘토스카’ 등 여성 주인공을 작품의 제목으로 사용했던 푸치니가, 이번 프로덕션을 직접 봤다면 이 오페라의 제목을 ‘투란도트’가 아닌 ‘칼라프’라고 이름 붙였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날 신하 핑 역으로 함께 출연한 바리톤 강주원은 “칼라프의 독보적인 존재감이 올해 프로덕션을 이끄는 원동력”이라며, “프로덕션 스태프들은 지금까지 메트가 올린 수백 회의 투란도트 가운데 올 시즌이 가장 뛰어나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강주원은 2021년 ‘라 보엠’의 마르첼로 역으로 메트에 데뷔하고 ‘돈 카를로’에 이어 올 시즌 ‘투란도트’에서 핑 역을 맡았다.

핑은 투란도트와 칼라프 사이의 팽팽한 긴장감에 작품이 매몰되지 않도록, 다양한 인간 군상을 보여주는 주요 역이다. 2막 초반에서 강주원은 안정된 목소리, 능청스러운 감초 역할을 인상적으로 소화했다. ‘뉴욕타임스’도 2월 29일 리뷰에서, 그의 아리아를 “꿈결과도 같은 그리움”으로 묘사했다.

 

우리는 이제 백석종에게 주목한다!

©Karen Almond

이날 ‘공연 중단’에 가까울 정도로 관객의 큰 박수와 호응을 끌어낸 백석종의 아리아 ‘아무도 잠들지 말라’와, 극의 마지막을 장식한 투란도트와의 듀엣은 공연의 하이라이트였다.

뉴욕에서 음악을 공부한 백석종에게 이곳은 집이자 음악적 고향이기도 하다. 팬데믹 기간 바리톤에서 테너로의 길을 모색하며 그는 발성 연습과 작품연구에 몰두했다. 그리고 작년 9월 25일, ‘뉴욕타임스’는 ‘우회한 끝에 메트에 도착한 가수(A Singer Arrives at the Met, After a Detour)’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당시 베르디 ‘나부코’ 이스마엘레 역으로 메트 데뷔를 앞둔 백석종에 대한 기사였다. 바리톤에서 테너로 전향한 무명의 가수를, 런던에서 먼저 시험대에 올렸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뉴욕으로 돌아왔다. 금의환향이다. 이번 ‘투란도트’ 첫 공연이 끝나자, ‘뉴욕타임스’는 “작품 전체에 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은 백석종이 배역의 강단과 자존심을 반짝이는 목소리로 드러냈다”며, “중음의 아름다움과 파스텔 색조의 화려한 음색으로 강직함으로 대변되는 칼라프의 정형성에 우아함과 깊이를 더했다”고 호평했다.

백석종은 6월까지, ‘투란도트’로 총 12회 공연을 갖는다. 그 사이 4월과 7월, 런던 로열 오페라 ‘나비부인’의 핑커톤 역으로 출연하며, BBC 프롬스에서 베르디 ‘레퀴엠’ 무대에 오른다. 올가을에 시작되는 2024/25 시즌에도, 그의 일정이 이어진다. 9월부터 12월까지 런던과 뉴욕을 오가며 ‘토스카’를 노래할 예정. 2025년 3월에는 런던에서 ‘투란도트’를, 4월에는 ‘아이다’로 베를린 도이치오퍼 데뷔 무대에도 오른다.

김동민(뉴욕클래시컬 플레이어스 음악감독) 사진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Back to site top
Translate »